“감귤 생산 혁신 방침 졸속
농가 생존 위협 불통행정”

“현실과 동 떨어진 계획” 농민단체 반발…정책 폐기 촉구

2015-05-17     신정익 기자

최근 제주도가 발표한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방침에 대해 도내 농민단체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회장 이덕진)는 17일 성명을 통해 “제주도 당국의 감귤 구조혁신 방침은 농가의 일방적 희생만을 요구하면서 농민 생존에 대한 고민이 없는 현실과 동떨어진 계획”이라고 비난했다.

제주도연합회는 “가공용 비상품 감귤 수매를 거부할 경우 피해는 부메랑처럼 농민들에게 돌아와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농민여론을 수렴해 제도를 보완한 후 단계적인 추진이 바람직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앞서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의장 김성용)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회장 김정임)은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가 발표한 감귤산업 혁신방안은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농업을 죽이겠다는 것과 다름없다”며 이를 폐기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농민단체들은 제주도가 발표한 방침 가운데 비상품 감귤 가공용 수매가격 보전제도를 폐지하고 비상품 감귤은 산지 폐기토록 하겠다는 내용은 현실성이 없는 정책이라며 비난했다.

이들은 “아무리 농사를 잘 지어도 비상품감귤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면서 “상황이 이런데도 제주도정은 감귤정책의 실패를 농민들에게 떠넘기려 하고 있다”며 “특히 가공용 감귤 수매 지원을 폐지하면 최소한으로 버텨오던 가공감귤즙 생산이 아예 없어져 감귤농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농민단체들은 “이번 방침은 예산을 볼모로 농민들을 겁박하는 것”이라며 “일단 지르고 보자는 식의 ‘불통행정’의 표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원 지사에게 공개 토론 등을 제안하고 제주도정이 이번 방침을 강행할 경우 도지사 퇴진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