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착한가격업소 폐업 한파
제주시내 올 들어 100곳 중 7곳 문 닫아…원가절감 ‘한계’
행정 지원도 불충분 어려움 가중…물가안정 악영향 우려
제주시내 ‘착한가격업소’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시는 2011년부터 물가안정에 모범을 보이는 음식점 등 위생업소를 착한가격업소로 지정,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착한가격업소는 서비스 가격이 지역평균보다 낮거나 동결 또는 인하, 친절 및 위생청결 수준, 원산지표시 등 시책 이행 등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있다. 이 중 가격 배점이 100점 만점에 60점으로 가장 높다. 착한가격업소는 기본적으로 지역물가 안정을 위한 시책이다.
제주시내 착한가격업소는 2011년 27개소에서 지난해 말 100개소로 매년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현재 93개소로 지난해보다 7개소가 감소했다. 경기불황에 따른 운영의 어려움으로 폐업 또는 휴업하는 업소가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착한가격업소 지정이 가게 이미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재료비나 인건비 상승 등으로 원가절감에 한계를 느끼는 업소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 음식점의 경우 낮은 가격 수준을 유지하다보니 음식의 질이 고객을 만족시키지 못해 매출도 업주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마저 불충분해 업소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제주시가 착한가격업소에 지원하는 것은 쓰레기종량제 봉투와 세제, 상수도 감면(월 50t), 전기안전검사 등이 고작이다.
착한가격업소 시행 초기에는 공직자들이 ‘업소 이용의 날’ 운영으로 업소 지원에 나섰으나 이것도 시간이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착한가격업소 폐업 속출에 따라 지역물가 안정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업소 활성화를 위해선 인센티브 강화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착한가격업소에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자긍심을 고취하고 참여분위기를 확산해 지역물가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