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고향 온 복순이·태산이
불법 포획돼 돌고래 쇼에 동원됐던 남방큰돌고래 ‘복순이’(암컷)와 ‘태산이’(수컷)가 6년 만에 고향 제주 바다로 돌아왔다.
14일 새벽부터 복순이와 태산이를 서울에서 안전하게 제주 바다로 옮기는 작업이 진행됐다. 이날 오전 5시30분께 포획과 채혈 등 사전 건강 체크가 이뤄졌다.
이어 오전 7시께 복순이와 태산이는 무진동 차량에 실려 서울대공원을 떠나 인천공항으로 옮겨진 뒤 곧바로 아시아나 항공 특별 전세기를 타고 낮 12시께 제주에 도착했다.
돌고래들은 또 다시 무진동 차량에 실려 목적지인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정주항에 임시 정착한 뒤 순서대로 어선에 옮겨져 정주항 방파제로부터 200m 떨어진 가두리 시설 안으로 들어갔다.
이날 총 이동 거리는 550km에 이르렀고, 소요 시간도 8시간 가까이 됐다. 돌고래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려고 모든 작업은 최대한 조심스럽게 진행됐다.
이번 복순이와 태산이 제주 이송 대작전에는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관리공단, 서울대공원 수의사·사육사, 고래연구소 연구원 등 30여 명이 참여했다.
이들의 도움으로 고향으로 돌아온 복순이와 태산이는 앞으로 2개월간 바닷물 온도, 날씨 변화, 활어 먹이 등에 대한 적응 훈련을 받은 뒤 야상 바다에 방류될 예정이다.
남방큰돌고래 복순이와 태산이는 2009년 불법 포획된 뒤 제주 퍼시픽랜드에서 돌고래 쇼를 하다 2013년 3월 대법원의 몰수 판결에 따라 서울대공원에서 보호를 받아 왔다.
남방큰돌고래는 인도·호주·중국·아프리카 등지의 해안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제주 근해에서만 복순이와 태산이의 어렸을 적 친구인 제돌이와 남방큰돌고래 100여 마리가 헤엄치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복순이와 태산의의 성공적인 방류가 최근 제기되고 있는 동물 복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어촌계 등이 함께 참여하는 만큼 가장 효과적인 해양생물 보전·관리 모델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