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공공기관 장애인생산품 외면

도·교육청 법정비율 1% 밑돌아…제주대병원 ‘0.08%’
단체 ‘판매 애로’ 호소…JDC 1.85% 구매율 기록 ‘눈길’

2015-05-12     진기철 기자

중증장애인들의 생산제품을 앞장서 구매하고 사용을 독려해야 할 제주도와 교육청 등 공공기관들이 오히려 사용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식개선이 요구된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도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비율은 0.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0.49%에 견줘 비율이 높아지긴 했지만 법정 구매비율(1%)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했다.

현행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시행령에 따르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목표 비율은 공공기관별 총 구매액(제품·서비스)의 100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

제주도교육청도 구매비율이 지켜지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도교육청의 지난해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비율은 0.87%에 그쳤다. 전년도 1.39%에서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당시 도교육청은 전국 시·도교육청 가운데 1위를 차지했었다.

제주대학교병원의 경우에는 더욱 초라한 실적이다. 구매비율이 0.1%에도 미치지 못하는 0.08%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결국 공기업 등 평가점수에서 100점 만점에 5.6점만을 받으며 하위기관 7위에 명단을 올렸다.

그나마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1.85%를 기록하며 법정 구매비율을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내 장애인단체 관계자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인식이 낮고 홍보가 부족해 생산품 판매에 어려움이 많다”며 “공공기관이 나서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우선구매를 촉진해 장애인의 재활의식과 자립생활 향상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제주도는 1.18%, 도교육청은 1.14%, 제주대병원은 1%로 상향시킨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계획이 지켜질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