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금지’ 줄만 친다고 되나

유해물질 검출 인조잔디 운동장 ‘안일한’ 조치
‘폐쇄’ 두달째…교체 ‘차일피일’ 연내 힘들수도

2015-04-29     박미예 기자

도내 일부 학교 인조잔디에서 유해물질이 검출, 운동장 사용이 금지된 가운데 교체 공사가 차일피일 미뤄져 교육 현장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이렇다 할 대책 없이 “교육과정 운영에는 문제가 없다”고 안일한 태도를 취하며 빈축을 사고 있다.

29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FITI시험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각각 진행한 인조잔디 유해성 검사 결과 도내 66개교 인조잔디 중 7개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해당 학교 운동장에는 교체 공사를 위해 지난달부터 출입금지선이 설치돼 운동장 활용 수업은 물론 내·외부인 출입 또한 불가능한 상태다.

도교육청은 이들 학교 중 5곳은 천연 또는 인조잔디로 교체할 계획이다. 나머지 2곳은 교체 방향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 달이 넘도록 교체 공사는 진행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더구나 도교육청의 설명과는 달리 안전사고, 체육 수업 등 관련 대책은 마련되지 않아 학교 현장의 불편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H초등학교 관계자는 “운동장 출입을 금하는 안전선을 설치했지만 하루 종일 운동장만 지키고 있을 수는 없어 출입 통제가 잘 안 되고 있다”며 학생들의 안전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활동성이 강한 체육수업을 진행해야 할 때는 협조를 구해 옆 학교 운동장을 빌리지만 그마저도 해당 학교의 수업과 겹치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불편을 호소했다.

J중학교 관계자는 “현재 체육 수업 때 운동장 옆 자투리 공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공간이 좁다 보니 학생 안전에 더 신경 쓰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J초등학교 관계자는 “2학기 내에는 운동장 교체 작업을 마무리할 수 없어 올해 말까지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천연 잔디로 교체하더라도 잔디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운동장 사용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학부모 박모씨(38)는 “공부 등으로 운동할 기회가 적은 아이들이 그나마 뛰어놀수 있는 게 운동장”이라며 “이마저도 대책 없이 막아놓으니 답답하기만 하다”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다음달 1일 전문가,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TF팀이 운동장 교체 사업 우선 지원 학교를 결정하는 회의를 한다”며 “현재 운동장 사용이 금지된 학교의 경우 강당이나 다목적실 등에서 체육 수업을 진행하고 있어 교육과정 운영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본지 취재 결과 유해물질 검출로 운동장 사용이 중지된 학교는 H초등학교, J중학교 등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도교육청은 전체 학교를 쉬쉬하며 공개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