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만 무성한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제주공항의 포화(飽和)시기가 2017년으로 당초보다 1년 앞당겨 졌다고 한다. 그러나 공항인프라 확충 계획은 말만 무성하고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14일 열린 ‘도민 대토론회’에서도 인프라 확충 방안과 관련 갑론을박(甲論乙駁)만 오갔을 뿐 결론은 없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최막중 서울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공항 여건 분석과 공항인프라 확충의 타당성을 바탕으로 ‘제주공항 비전 4대 원칙’을 제시했다. △최우선 국책사업으로 추진 △기존공항의 지속적 활용과 발전 도모 △에어시티 개념의 친환경 복합개발 유도 △공생 개발을 원칙으로 주민갈등 최소화가 바로 그것이다.
최 교수는 중앙정부가 정책 집행의 주체(主體)로 관광수요 중심의 제주국제공항 건설을 최우선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제주공항은 확장에 한계가 있고, 이전할 경우 주변 거주인구 감소 및 상권 붕괴 등으로 지역경제에 악영향이 예상된다며 ‘기존공항 유지+제2공항 건설’을 최적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날 눈길을 끈 것은 ‘에어시티(Air-City)’와 관련된 논란이었다. 토론에 나선 허종 박사(한국항공정책연구소)는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은 제주에 머물기 위해 오기 때문에 제주공항은 현관으로서의 기능만 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에어시티 조성 등 거대공항을 추구하는 것은 과욕(過慾)이며 성공한 사례도 없다”고 반박했다.
토론회에선 제주공항 관리 및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공항 운영에 제주도가 직접 참여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특히 도민들이 정부의 결정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정치적인 간섭을 최대한 줄여야 공항이 하루라도 빨리 건설될 수 있다는 조언은 눈여겨 볼 대목이었다.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과 관련 도민 대토론회는 끝났지만 역시 뚜렷한 결론은 없었다. 과연 ‘기존공항 유지+제2공항 건설’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도 의문이다. 공자님 말씀처럼 다 맞는 말들을 쏟아냈는데도 ‘어떻게?’ 등의 구체적인 실천전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공항 포화시기는 다가오는데 단안(斷案)을 내놓을 주체인 정부나 제주자치도는 아무런 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