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립 시급”
새정치민주연합 제주도당 ‘4·3 현안 과제와 해결 방안’ 토론회
제주4·3사건 유족들을 위한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립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제주도당은 31일 오후 하니크라운호텔 대회의실에서 4·3 67주기를 맞아 ‘국가추념일 지정 이후 4·3 현안 과제와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종민 전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 전문위원(4·평화재단 이사)은 ‘4·3사건에 대한 현안과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김 전 위원은 “4·3사건의 상처를 치유하는 손길이 절실하다”며 “트라우마 치유센터를 제대로 설립·운영하는 것이 상처 치유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어 “지난 총선에서 강창일 의원이 공약했던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이 안타깝게도 무산됐다”며 “트라우마 치유센터 대신 세워진 제주도의 ‘광역형 정신건강증진센터’가 4·3 트라우마 치유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제주도가 역부족으로 독립된 4·3 트라우마 치유센터를 설립하지 못하더라도 피해자 및 유족들의 정신적 후유증에 대한 배려가 있었다면 차선책으로 광주광역시가 5·18 트라우마 치유센터를 광역형 정신보건센터와 함께 설립한 사례와 같이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광역형 정신보건센터는 제주도민의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지만 4·3 트라우마는 흔히 얘기하는 정신질환과 다르다”며 “4·3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유족 중 어느 누가 스스로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찾아 나설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세월호 사건을 통해 치유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고, 치유와 트라우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며 “4·3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이 한번 실패한 것에 좌절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범위와 규모를 키워 제주도를 전 국민이 힐링하는 곳으로 가꿔가자고 정부를 설득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날 토론자로 나선 임채도 인권의학연구소 사무국장도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치 및 운영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 제주도당은 이날 토론회에서 제안된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이를 정책과제로 반영해 4·3 현안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