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희생자 발굴유해 신원확인 ‘청신호’

김우남 위원장 “이완구 총리에 예산 등 지원 약속 받아”

2015-03-26     박민호 기자

4·3 희생자 발굴유해 신원확인에 청시호가 켜졌다.

국회 농립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위원장은 26일 ‘4·3 희생자 발굴유해에 대한 조속한 신원확인 요구’에 이완구 국무총리가 예산확보 등의 필요한 지원을 약속함에 따라 유전자 검사를 통한 신원확인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밝혔다.

이완구 총리는 김 위원장이 송부한 서면질문에 대한 답변서를 통해 “정부는 제주도와 제4·3평화재단 등과 긴밀히 협력해 제주4·3사건과 관련한 발굴유해 309구의 신원확인을 위한 예산확보 등 필요한 지원을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2006년부터2011년까지 4·3과 관련해 학살·암매장된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 자억이 진행돼 화북·제주국제공항 등 8곳에서 396구의 유해와 유품 2357점이 발굴됐다.

하지만 감식능력의 한계 등으로 인해 발굴된 유해 396구 중 87구만 그 신원이 확인, 유족들에게 인계됐으며 나머지 309구는 여전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단일 핵산염기 다형 현상’ 분석방식이라는 새로운 개인 식별 방법이 개발되면서 이 방법에 의해 15구의 신원이 확인되는 등 검사의 유효성이 입증되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을 이용한 신원확인에는 막대한 예산(20억원)이 필요해 아직까지도 나머지 유해에 대한 신원확인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김우남 위원장은 “예산 20억원이 없어 70년 가까이 주검을 찾아온 유가족의 한 을 풀어주지 못하면서 4·3의 완전한 해결을 입에 담을 수 있느냐”며 “정부의 약속 이행 점검·견인함으로써 4·3 희생자 유해를 유가족들 품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