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사업조정 과정
학부모 목소리 확대돼야”
주요계획 TF팀 학교관계자로 구성…교육수요자 반영 미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원 업무 경감을 위해 주관 사업을 폐지·조정하고 있는 가운데, 이 과정에 교육 수요자들의 목소리를 확대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19일 도교육청은 주관 사업 886건 중 올해 192건(22%)을 폐지하고. 학교 현장에도 이를 반영해 구성원들과의 협의를 거쳐 25% 정도의 사업을 폐지하도록 권고했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이번 조정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30명으로 구성된 ‘2015년 주요업무계획 수립을 위한 TF팀’을 구성해 의견을 수렴했다.
TF팀은 도내 169개 학교에서 수합된 내용을 기초로 306건을 폐지하자는 입장을 제시했으며, 도교육청은 이를 기반으로 각 부서별 검토를 거쳐 192건은 폐지하고 12건은 일부폐지나 학교자율결정 등으로 조정했다.
그러나 TF팀은 도교육청 사무관, 장학사, 교육연구사 및 학교장, 교사, 교육연구사 등으로 구성돼 있어 교육 사업의 실질적 수요자인 학생 및 학부모의 의견은 그 반영이 미미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학부모는 “도교육청 주관 사업을 폐지·조정하고 학교에도 이를 반영해 25%의 사업을 폐지하도록 권고하게 되면 학교는 대부분 그 권고를 따르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며 “아이들의 교육과 관련이 없을 수 없는 만큼 학부모들도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사업 조정이 공급자 중심으로 진행된 것은 사실”이라며 “다음달 TF팀을 재구성해 검토과정을 거칠 예정인데 가능하면 학부모들도 같은 테이블로 모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은 올해 모델, 선도 등 시범학교 운영을 기존 512개교에서 240개교로 55% 줄였다. 우수사례집 등 자료집 발간은 파일 탑재로 대체하도록 하고, 우수학생 해외연수, 통일교육담당자 국외체험연수, 안보체험현장학습, 선진유아교육 국외연수 등 특정 소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업도 폐지했다.
또, 선행학습금지법 등 정부 정책변화를 반영해 중·고교 신입생 예비교실을 취소하고, 실적을 위한 사업, 일회성 사업 등을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