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방문의 해'가 성공하려면
제주도가 도제 실시 60주년을 맞는 내년을 ‘제주 방문의 해’로 정한다는 방침아래 이를 문화관광부에 신청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역 방문의 해 사업은 국제적 관광 역량 증대와 지명도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지정된 지자체에는 정부가 예산 20억 원을 지원한다. 그동안 2004년이 강원 방문의 해, 2005년이 경기 방문의 해로 각각 지정됐으며, ‘2006년 지역 방문의 해’ 지정에는 제주도를 비롯해 서울시와 인천시, 전라북도 등이 경합을 벌이고 있다.
제주 방문의 해는 이들 지역과의 경합에서 승리해야 지정 여부가 판가름 나겠지만, 문제는 방문의 해를 선포한다고 해서 외래관광객이 ‘자연적’으로 들어오리라 생각하면 큰 오산이란 점이다. 방문의 해는 관광객들이 어떤 지역을 방문하겠다고 결의한 해가 아니라 한 국가나 지역에서 외래관광객을 초대한 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관광객이란 초대한다고 해서 다 오는 것도 아니다. 방문의 해에 걸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체계적인 홍보는 물론, 불친절이나 바가지요금 등 고질적인 관광불편사항을 척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라 하겠다.
‘방문의 해’는 지난 1960년 미국에서 처음 선포하여 외래관광객 유치와 관광 수입 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면서 시작됐다. 우리 나라도 서울 정도 600년이었던 1994년과 21세기 첫 해인 2001년, 그리고 월드컵대회가 열렸던 2002년에 각각 ‘한국 방문의 해’를 선포한 바 있으며, 독도문제로 물 건너가긴 했지만, 올해도 한·일 국교정상화 40주년을 맞는 ‘한·일 우정의 해’를 기념하여 ‘한·일 방문의 해’를 선포했었다.
어쨌거나 확실한 것은 외래관광객이 오지 않는 방문의 해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이다.
제주를 세계적 관광목적지로 인식시키고 손님을 맞을 ‘기본’을 갖추는 일은 제주 방문의 해를 선포하기에 앞서 무엇보다 선행돼야 할 조건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