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교통문화 현주소
제주·서귀포시 모두 전국 ‘꼴찌’
사고율 국가 평균보다 1.5배
안전띠 미착용률도 높아
렌터카가 주요 원인중 하나
과속 방지가 제일 중요
홍보 안전교육 병행 필요
지난달 26일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2014년도 우리나라 전체 229개 시·군·구의 교통문화지수를 발표했다. 교통문화지수는 교통선진국 수준의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교통문화 실태를 조사하여 지수화한 것이다. 교통안전법에 근거를 두고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교통문화지수 도출을 위해 전국의 모든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운전행태·보행행태·교통안전과 교통약자 등 4개 영역의 11개 항목을 조사하고 있다. 교통문화지수는 지자체의 교통문화 취약점이나 장단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지역 및 도시간 교통문화와 교통안전수준을 비교·평가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2014년도 교통문화지수 조사결과를 보면 제주시는 인구 30만 이상 26개 시그룹 중 21위, 서귀포시는 인구 30만 미만 51개 시그룹 중 45위에 그치고 있다. 제주도내 행정시 2곳 모두 하위그룹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제주시의 경우에는 2009년 맨 꼴찌인 26위에서 2012년 25위 그리고 2013년에 22위에서 1단계 높아졌을 뿐이다. 서귀포시도 별반 다르지 않다.
교통안전 영역은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수와 사고건수,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수와 사고건수를 합산한 것으로 제주도는 맨 꼴찌 수준이다. 취약한 교통안전 문제가 국제자유도시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는 자동차의 대중화에 따라 생활과 문화수준은 향상됐으나 교통문화는 그렇지를 못하고 있다. 2013년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가 2.25명으로 OECD 회원국 32개국 중 30위에 해당되어 여전히 교통사고 다발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국가차원에서도 교통사고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임에도 제주도는 우리나라 전체 평균 사고율보다 1.5배나 더 높다. 정말로 교통사고율 감소를 위한 획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또 하나 우려되는 점은 안전띠 착용률이 제주시는 56.74%로 30만 이상 시 그룹의 평균인 77.03%를 크게 미치지 못하여 25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서귀포시도 착용률이 54.23%로 30만 미만 45개 시 중에서 42위에 해당되어 사실상 꼴찌나 마찬가지다.
섬이라는 지역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운행거리가 짧기 때문에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안전띠 착용은 국가적인 정책과제로 추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도를 줄이는데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안전띠 착용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교통사고율도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다. 안전띠 착용에 관한 철저한 단속과 홍보가 필요한 이유이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불법주차 점유율이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각각 20.26%, 19.01%로 전국 평균보다 2배 정도 높다. 전국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최근 제주도에 차량이 급증하면서 주차난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몇 해 전 제주도가 차고지 증명제 도입을 시도하다가 도의회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지만 어린이 보호구역뿐만 아니라 생활도로 전체가 불법주정차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충분히 예견된 일이다.
교통문화지수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많은 부분 렌터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통사고 상당수가 제주 지리에 익숙하지 못한 다른 지방 렌터카 운전자들의 과속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렌터카 사고를 막기 위한 홍보와 안전교육의 실시 등 다양한 조치가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 과속을 하지 못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제주도의 모든 렌터카에 속도제한장치를 설치하여 시속 80㎞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사고 위험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번 교통문화지수 조사결과를 제주도의 교통문화 개선과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우선적으로 추진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정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사고예방을 위한 정량적인 목표 설정에 조사결과를 참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주도의 교통문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근본원인을 찾아내어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