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구구식' 방제 이전에 '원인 규명'이 우선'

환경도시위원회 업무보고
빗나간 예측 등 재선충병 확산 문제 도마

2015-02-06     박민호 기자

소나무재선충 완전 방제를 위해선 고사목에 대한 원인 조사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속개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김명만)의 제주특별자치도 환경보전국과 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2015년 주요업무 보고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방제보단 피해 고사목에 대한 명확한 원인 규명이 우선돼야 한다는 게 도의회의 주장이다.

이날 현우범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남원읍)은 “제주도의 정책을 보면 모든 고사목에 재선충병 피해에 따른 것으로 규정, 방제작업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하지만 관련 연구 등에 따르면 매개충(솔수염하늘소)에 의한 피해도 있지만, 가뭄 등 환경적 요인으로도 고사목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도가 정확한 원인 규명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김창조 산림휴양정책과장이 “원인 규명을 해야 한다는 것은 맞지만 현재 부족한 예산 탓에 방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라며 “2차 방제를 마무리 한 후 원인 규명에 나서겠다”고 피력하자. 현 의원은 “응급예산은 이런 사업에 쓰는 것이다. 고사목 원인조사를 위한 용역을 실시, 명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 의원은 특히 “2004년 유입된 솔수염하늘소가 토착화되는 만큼, 이에 따른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앞서 재선충 피해를 입은 일본의 경우 살려야 하는 소나무와 포기해야 할 소나무를 구분해 방제를 진행하는 만큼, 우리 실정에 맞는 방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제주도의 재선충병 피해 예측이 빗나가면서 도민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고태민 의원(새누리당, 애월읍)은 “지난해 10월 제주도는 재선충병 고사목을 20만6000그루로 발표했다가 다시 10만6000본의 추가 발생됐다며 예측치를 수정했다”며 “지난 1차 방제(2013년) 당시에도 예측혼란으로 피해를 키웠는데 또 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면 도민신뢰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은 특히 “극심 지역의 경우 모두 베기를 통한 수종 갱신을 해야 한다”면서 “이런 부분도 도에서 빠른 시일 내 정책 방향을 결정해 재선충병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과장은 이에 대해 “지난해 제주의 경우 산림과학원이 발표한 월별 발생률 보다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때문에 올해는 제주 실정에  맞는 예측치를 설정하고, 제주형 방제 전략을 수립해 5년 내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줄여나가겠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