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 도정의 원도심정책 ‘중구난방’”
신관홍 의원 업무보고 자리서 문제점 지적
5일 속개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김명만)의 제주특별자치도 국제자유도시건설교통국, 교통제도개선추진단, 도로관리사업소 등을 대상으로 한 2015년 주요 업무보고에서는 중구난방으로 진행되고 있는 원도심 재생 사업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이 자리에서 신관홍 의원(새누리당, 일도1·이도1·건입동)은 “원도심 재생사업과 관련, 제주시와 제주도가 비슷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미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란 특별법이 시행중에 있는데 도정의 원도심 정책은 중구난방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지금의 원도심 개발은 도와 행정시, 문화예술단체가 따로 가고 있다”면서 “관련법에는 원도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전담조직, 특별회계 등을 설치, 체계적으로 운영토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제주도정이 밝힌 문화원도심재생 사업에 대한 문제도 지적했다.
신 의원은 “원희룡 도지사는 최근 문화예술원도심 재생사업을 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누가 원하는 사업이냐”면서 “원도심 곳곳에는 주거, 상업, 문화·역사 등 다양한 형태의 있다. 특별법에 있는 ‘도시재생지원센터’를 만들어 지역주민과 전문가, 행정을 담아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강용석 국제자유도시건설국장은 “제주도의 원도심 정책은 도 전역을 상대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 국한된 제주시의 원도심 정책과는 차이가 있다”면서 “도시재생은 우리가 주관이지만 그동안 업무를 총괄했어야 했지만 미약했던 건 사실이었다. 앞으로 추진 과정에서 주민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그러면서 “결국 원도심 재생은 주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지금 주민들은 떠난 인구를 흡수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개선해 달라고 하고 있다. 이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