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 지사 일본 출장 아니라 청와대 갔어야”

도의회 행자위 임시회
강정 행정대집행과정
지사 정치력·행보 질타

2015-02-04     박민호 기자

지난달 31일 강행된 서귀포시 강정마을 군 관사 앞 천막농성장 행정대집행은 원희룡 도지사의 ‘정치력 부재’ 때문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4일 속개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고정식)의 제주특별자치도 기획조정실·민군복합형관광미항 갈등해소지원단·서울본부·규제개혁추진단·제주발전연구원 등에 대한 2015년도 주요업무보고 자리에서는 원희룡 지사의 정치력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김경학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구좌읍·우도면)은 “강정주민들은 주민 합의 없이는 마을 내 군 관사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고, 제주도 역시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었다”면서 “결국 군관사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으니 진상조사도 물 건너 간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김 의원은 또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정주민들의 눈물을 닦아줘야 함에도 도지사는 일본 출장길에 올랐다”면서 “도지사가 떠난 동안 강정주민들은 인디언이 미국 땅에서 쫓겨나듯 내몰리고 말았다. 이는 원지사가 무력해서 그런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정대집행과정에서 드러난 원 지사의 중앙 정치력 문제와 그의 행보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이상봉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노형 을)은 “강정마을 문제를 바라보면서 주민들과 도의회는 원 지사의 정치력을 믿었다”면서 “하지만 결과적으로 갈등만 남았다. 결국 강정의 치유 없이 미래가 없다던 원 지사의 자신감 있는 발언은 명분 쌓기에 불과했다는 게 드러난 것”이라고 힐난했다.

답변에 나선 홍봉기 갈등해소지원단장은 “원 지사께서 그 동안 노력을 많이 했고김무성 새누리당대표에게 군 관사를 기지 내 설치할 수 있도록 건의도 했다. 이것은 대단한 정치력”이라고 피력했다.

이 의원은 그러나 “결국 행정대집행은 강행됐고, 갈등을 계속되고 있다”면서 “원 지사의 정치력이 그 정도라면 전직 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도 노력은 무엇이었나. 당시 일본으로 출장을 가는 게 아니라 ‘청와대’, ‘국회’를 찾아 정치력으로 문제를 풀었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특히 “지사가 없으면 서울본부 등에서 정치력을 발휘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했다”면서 “군 관사 대체 부지를 마련했음에도 행정대집행을 막지 못했다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 재임기간에는 원 지사의 정치력이 없다는 게 밝혀진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일도2동 갑)도 “제주도가 여당 대표에게 건의를 했다고 ‘생색’을 내고 있는데, 그런 건 결과가 좋았을 때 하는 것”이라며 “지금 제주의 제1현안이 이 문제인데 일본 출장에서 조금 일찍 돌아와 유감을 표명했으니 노력했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용구 기획조정실장은 이에 대해 “일본 행사에 대한 불참도 검토를 했지만, 국제적 약속인 데다가 지사가 직접 제안해야 할 사안이 있어 부득이하게 출장을 간 것”이라며 “당시 항공편 문제 등으로 귀국에 문제가 있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