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주차제 ‘실종사태’ 방치하는 행정
제주시는 2013년 2월부터 이도2동 도남오거리~마라도호텔 구간에 한줄주차제를 도입했다. 원칙적으로 도로에 주차는 안되지만 주차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을 감안한 ‘실용적’ 제도인 셈이다.
도로 한쪽을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한줄주차제는 불법 주·정차 방지는 물론 차량 흐름도 원활해지는 등 효과가 적지 않다는 것이 제주시의 분석이다. 이에 한줄주차제는 일도2동 국수거리 등 주차난과 교통 혼잡이 심각한 시내 15개 구간으로 확대됐다.
그런데 밤만 되면 일부 얌체 운전자들의 무분별한 주·정차 행위로 인해 한줄주차제가 실종 상태라고 한다. 현장 확인한 결과 한줄주차제 시행을 알리는 안내표지판이 무색할 정도로 도로 양쪽을 주차차량들이 점거하고 있었다.
더욱이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몇 개월째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지가 지난해 10월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개선되고 있지 않고 있다.
행정 당국의 무관심을 질책하지 않을 수 없다. 소극적인 제주도자치경찰단의 단속도 문제지만 1년 단위로 주차구역 변경을 위한 차선정비 말고는 제도 정착에 무관심한 제주시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정된 도로 폭에서 주차공간과 교통소통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위한 행정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한다. 양쪽 차선 주·정차로 도로가 좁아지면 차량 통행에 큰 불편이 있을 수밖에 없다. 심할 경우 차량이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주차차량 때문에 도로가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면 어불성설이다.
아울러 비좁은 공간에서 차량들이 교행하다 보면 교통사고 위험성도 높아짐은 당연하다. 그리고 행정의 신뢰성 확보차원에서도 한줄주차제 정착을 위한 행정의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제도 시행 초반에만 반짝하고 만다면 시민들은 행정의 다른 제도나 시책에 대해서도 “하다 말겠지”라며 신뢰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