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개 매립장 활용 문제 도마

환경도시위원회, 제2차 추경예산 심사

2014-12-19     박민호 기자

19일 속개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김명만)의 제325회 임시회 2014년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봉개매립장 활용 문제와 매립장 광역화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이날 고태민 의원(새누리당, 애월읍)은 “동복리 매립장 완공 시점이 2018년인데 현 매립장은 2016년이면 포화가 예상되고 있다”면서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보이는 음식물 처리시설 등 봉개 매립장내 시설 이전 문제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고 의원은 “내년 압축포장기 도입 예산(22억)과 음식물자원화 건조기 교체비(10억) 등이 투입되고 있다”면서 “이런 시설들은 새로운 매립장으로 가야 하는데 기존 매립장에 투입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그러면서 “사업을 추진하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추진해야 한다”면서 “2016년이면 다시 봉개동과 재협약을 해야 하는데 신규 사업추진에 신중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여찬현 제주시청정환경국장은 “관련 시설은 설비 노후와 매립장 포화에 따른 보완 시설”이라며 “(봉개)주민대책위원회와 새 매립장이 조성될 때까지 기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경용 의원(새누리당, 서홍·대룬동)은 “쓰레기 소각장인 경우 광역화로 추진되고 있는데 음식물 처리와 매립시설도 최종적으론 광역화로 가야 한다”면서 “환경부에선 광역화로 갈 것을 요구 하고 있다. 서귀포 매립장의 경우도 포화 시기가 다가오저 전에 지금부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답변에 나선 고창덕 제주도생활환경과장은 “그 부분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면서 “음식물의 경우 현재까지는 행정시 단위로 추진하고 있지만 환경부와 논의 새로운 지역에 300t규모의 처리장 조성을 추지하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