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재단, 4·3 진상 규명·명예 회복 중심돼야”
4·3특별법 국회통과 제15주년 기념 토론회 열려
김창후 전 제주4·3연구소장 주제 발표 통해 제기
제주4·3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해서는 제주4·3평화재단이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정문현)가 16일 제주시 하니관광호텔 별관 2층에서 ‘4·3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갈등 해소의 길’이라는 주제로 4·3특별법 국회통과 제15주년 기념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이희호 김대중 평화센터 이사장의 축하메시지 대독과 서중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4·3중앙위원회 위원)의 ‘4·3특별법 제정의 현재적 의의’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양조훈 전 제주도 환경부지사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김창후 전 제주4·3연구소장이 ‘4·3역사 왜곡과 대응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김 전 제주4·3연구소장은 “과거에 4·3관련 단체들이 보여줬던 서로의 의리나 끈끈한 정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며 “4·3관련 단체들이 사업이나 예산 문제로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소원해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4·3관련 단체 가운데 제주4·3평화재단이 ‘갑’의 지위에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며 “4·3평화재단이 정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는다고 해서 4·3과 관련해 현안이 발생했을 때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4·3평화재단이 당장 떠안고 가야 할 일 중에 정립유족회가 제기한 불량 위패 문제가 있는데 현재 4·3희생자유족회에서 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며 “4·3희생자유족회가 보수·우익단체에서 제기하는 소송을 떠맡으며 방패막이 역할을 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제주4·3연구소장은 “수형인 또는 불량 위패 문제가 유족회만의 문제는 아니”라며 “4·3특별법 속에서 이뤄지는 모든 행위는 정부는 물론 4·3평화재단과 4·3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한 4·3관련 단체 모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그는 “4·3평화재단이 보수단체에서 제기하는 불량 위패 문제를 4·3희생자유족회에 맡긴 채 나 몰라라 해서는 안 된다”며 “4·3평화재단이 그 중심에 서서 4·3관련 단체들과 이 문제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 전 제주4·3연구소장은 “4·3평화재단은 문제를 제기하는 보수·우익단체에도 먼저 화해와 상생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진정한 갈등을 넘어 화해와 상생의 길로 나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주매일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