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축제 대부분 官 주도·킬러 콘텐츠 부족"

도 관광진흥계획서 경쟁력 문제 지적
전문성 가진 민간조직으로 이관 필요

2014-12-08     김승범 기자

제주지역 축제 대부분이 관이나 특정단체 주도이며,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킬러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제주지역 축제 수는 총 30개로 나타났다. 예산보조 기관별로 보면 제주도 4개, 제주시 15개, 서귀포시 11개다.

전체 축제 예산은 37억원으로 축제당 평균 예산은 1230만원이며, 5000만원 미만이 13개(43.3%),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8개(26.7%), 1억 이상 3억 미만 7개(23.3%), 3억 이상이 2개(6.7%)로 조사됐다.

이처럼 대부분의 축제가 행정기관 보조로 이뤄지다 보니 축제는 사실상 모방적이거나 고착적인 관(官) 중심의 행사에서 벗어나기 힘든 상황인 것으로 지적됐다.

또 10개 중 4개 이상이 5000만원 미만의 규모로 낮은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데다  축제의 수도 많아 예산배분 및 활용에 있어서도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최근 도가 발표한 ‘제2차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진흥계획’에서도 제주지역 축제가 대부분 관이나 마을회·청년회 등 특정단체 주도로, 사실상 모방적이어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민간조직으로 순차적인 이관이 이뤄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와 더불어 탐라문화제, 들불축제, 서귀포칠십리축제 등 몇몇 축제를 제외한 나머지는 보조 예산이 부족해 축제의 품질은 높이지 못하고 예산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축제를 접하고 이해하려는 관광객에게 축제에 대한 정확한 해설은 성공적인 필수요건 임에도 제주지역 축제들은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킬러콘텐츠가 미흡하다는 점도 개선이 요구됐다.

(사)제주관광학회는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주 대표축제 개발 로드맵 작성 ▲축제 평가체제 구축 ▲킬러콘텐츠 개발 ▲통합 축제안내 시스템 및 정보망 구축 ▲차별화된 홍보전략 수립 ▲지역주민 참여방안 마련 ▲축제 사전평가제 도입 ▲축제 자립화를 위한 축제기금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