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토양오염 우려지역 토양 상태 양호
道 보건환경연구원, 고철야적 지역 등 총 51개소 조사
도내 고철야적 지역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의 토양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조인숙)은 제주도내 토양오염우려가 있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토양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고철야적 지역 10곳, 공장 및 공업지역 14곳, 폐기물매립 지역 19곳, 교통관련시설 4곳 등 총 51개소 토양의 표토 및 중간토층 시료에 대해 수소이온농도(pH), 카드뮴(Cd) 등 중금속 8종, 총석유계탄화수소(TPH) 등 총 16개 항목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교통관련시설과 고철야적 지역에서 야연이 각각 평균 366.8㎎/㎏, 168㎎/㎏으로 기준치(2000㎎/㎏)를 밑돌았다. 또 구리도 각각 평균 71.7㎎/㎏과 52.8㎎/㎏도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그 외 조사지역인 경우 아연이 평균 68.1㎎/㎏~141.3㎎/㎏로 구리 평균 21.9㎎/㎏~44.1㎎/㎏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됐다.
공장 및 교통관련지역 토양에 기름 성분인 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BTEX)은 검출되지 않았다. 총석유계탄화수소(TPH)는 최대 265.8mg/kg이 검출됐으나 토양오염우려기준(2000mg/kg)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조사결과를 연구원 홈페이지에 공개하여 도민과 함께 정보를 공유해 나갈 방침이다”며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매년 오염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토양오염 예방은 물론 토양의 청정성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