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전문교육 받을 곳 없는 제주시
제주시, “내년 농식품부 공모에 참여하겠다”...선정은 미지수
최근 제주시로 전입하는 귀농·귀촌인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체계적인 귀농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전담기구가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제주시가 발표한 귀농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제주시로 이주한 정착 가구는 모두 201가구(690명)로 지난해 194가구(381명)를 넘어섰다.
제주시로 이주한 귀농인들이 가장 선호한 지역은 애월읍 67가구(33%)로 조사됐으며, 조천읍28가구(14%), 한림읍 23가구(11%), 한경면 20가구(10%), 구좌읍이 19가구(9%)순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제주시동지역으로 이주한 가구는 모두 44가구(22%)로 조사됐다.
제주시는 도시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농어촌지역으로 귀농 귀촌할 경우, 귀농교육 100시간이상 이수(농업계열 학교졸업자, 귀농후 3개월 이상 농업경영자는 교육이수자로 인정)한 자에게는 창업자금으로 2억원까지 융자(연리 3%, 5년 거치10년 상환)되고, 주택구입이나 신축자금으로 최대 5000만원까지 융자(연리 2.7%,65세 이상은 2%, 5년 거치10년 상환)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귀농인들의 선도농가에서 농업창업실습 할 경우 5개월간 월 80만원을 지원하고, 농가주택구입이나 임차 시 수리비 일부 400만원(수리비의 70%보조)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귀농인들이 창업기반을 준비하는 동안 임시거처로 사용하는 귀농인 사랑방을 운영하고 있다.
귀농·귀촌인들에게 창업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등은 지원되고 있지만 정착 이들이 실생활에 필요한 전문 교육은 부족한 상황이다.
서귀포시의 경우 귀농·귀촌 전담조직을 만들어 기본적인 귀농·귀촌교육은 물론, 실생활목공 과정, 목조주택짓기 과정, 천연염색 기본 및 천연염색지도사 과정, 홈패션 과정, 블로그를 활용한 농수산물 판매 기법 등 맞춤형 귀농·귀촌교육 지원 사업을 운영·추진하고 있다.
융자 등 단순 지원에만 그치고 있는 제주시와는 분명 다른 모습이다.
이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우리도 귀농·귀촌 교육 전담 기구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내년에 농식품부 공모사업을 신청, 도시민과 농촌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주시가 밝힌 농식품부 도시민 농어촌 유치 지원 사업에 선정되면 연간 2억원씩 최대 3년간 지원된다. 하지만 매년 공모를 신청하는 지역은 70여 곳에 이르지만, 선정은 40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제주시가 해당 사업에 선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