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싼얼병원 진상파악 ‘뒷북치기’

도민사회 높은 관심에도 中현지 업체 확인 한번도 안해
언론 통해 문제 제기되자 이제야 사업계획서 보완 요구

2014-08-28     이정민 기자

제주도가 최근 언론 등을 통해 제기된 ‘싼얼병원’ 문제에 대한 진상 파악에 나섰다.

그러나 ‘싼얼병원’이 사실상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이제야 확인 작업을 시작해, ‘뒷북 행정’이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8일 제주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호근동에 세워질 계획인 싼얼병원은 중국 ‘싼얼병원’의 한국법인인 (주)CSC가 추진하는 투자개방형 외국병원이다.

사업비는 토지매입(25억원)과 병원 건축 등 모두 505억원으로 지난해 8월 보건복지부 승인이 잠정 보류된 뒤 같은 해 12월 사업계획서를 보완해 제출한 상태이고, 보건복지부도 다음 달 승인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싼얼병원의 모회사인 CSC헬스케어재단 쟈이자화(翟家华) 회장이 지난해 7월 경제사범으로 구속되고 싼얼병원의 최대 주주사도 회장 구속과 함께 은행 대출금 상환 등의 이유로 같은 해 8월 문을 닫은 것으로 현지 언론 등을 통해 드러났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승인이 잠정 보류될 당시부터 문제가 발생한 것이지만 제주도는 지금까지 이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제주도는 특히 승인될 경우 국내 제1호가 되는 투자개방형 외국병원이어서 도민사회의 관심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현지 업체 확인 등은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는 지난 12일 투자무역진흥회의에서 싼얼병원의 승인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혀 보건복지부도 이번 사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원일 제주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언론에 (싼얼병원 문제가) 나왔기 때문에 1차적으로 보건복지부가 나서서 우리와 확실하게 해야겠다고 해 확인 중에 있다”며 “제주도 자체적으로도 지역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을 (사업자 측에) 서면으로 제출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사업자 측이) 땅을 사며 25억원을 투자했고 사전승인요청에서 제동이 걸렸고, 그 이후 모회사 운영이 변한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한다”며 “이 부분을 명쾌하게 하지 않으면 (싼얼병원은) 개설하지 않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27일 CSC 부사장에게 ▲모법인(싼얼건강그룹)의 자금력 및 병원 운영실적 ▲모법인의 범법사실 여부 및 제주 설립예정 의료기관과의 차단 ▲투자 실행가능성 ▲응급의료체계 보완 ▲적정 의료인력 확보 및 질 관리 방안 등 사업계획서 보완 사항을 보내, 다음 달 중순까지 회신하도록 요구했다. [제주매일 이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