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상인비대위ㆍ범도민비대위…"티격 태격"
도민ㆍ지역상인 위한다고 해놓고
쇼핑 아웃렛 사업에 따른 반대 대책위가 분열 양상을 나타내면서 국면을 더욱 꼬이게 할 전망이다.
종전 지역 경제살리기 범도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 공동대표 김태석 등)로 유일하던 반대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난 18일 '쇼핑아웃렛 철회 쟁취 범상인 비상대책위(이하 범상인 비대위, 상임공동대표 이정생. 양승석. 김영식) 결성을 계기로 나눠졌다.
이러한 양상은 개발센터 이전 기념식이 열린 27일 범상인 비대위는 천막농성을 중단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범대위는 거꾸로 성명서를 발표하고 천막농성에 돌입하는 엉뚱한 사태로 번졌다.
지난 20일 제주도청 앞 시위를 주도한 범상인 비대위측은 25일 성명서를 통해 범대위의 김 공동대표를 비난하고 나섰다.
범상인 비대위측은 '김 공동대표와 진철훈 개발센터 이사장의 관계설정이 애매하다'면서 "김태석 공동대표의 자격이 이미 상실됐고 범대위는 이정생대표 단일체제"라고 주장했다.
또한 범상인 비대위는 '김 공동대표의 활동은 정치적인 목적을 담고 있다'는 비난마저 제기했다.
이와 함께 범상인 비대위는 개발센터측과 '쇼핑 아웃렛 사업자 평가위원 동수 구성'에 합의하고 천막 농성을 푸는 등 일단 대화에 나설 의사임을 밝혔다.
이번에는 김 공동대표를 중심으로하는 범대위가 포문을 열었다.
범대위는 26일 성명서에서 쇼핑 아웃렛에 대한 공식 입장이라고 전제한 뒤 "이 사업이 앞으로 관광발전과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인프라라고 인정한다"면서 "지역여건상 3대 선도프로젝트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관광객 유인효과와 인구유입효과가 늘어난다고 판단 될 경우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동시에 '범상인 비대위'와 '개발센터'의 합의에 대해 "재래상인들의 생존권을 무시하는 평가위 구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공격했다.
이처럼 반대 대책위가 둘로 쪼개진 이유에 대해 주위에서는 향후 대책위의 진로를 둘러싼 잡음이 표면화됐다는 분석이다.
김 공동대표가 표명한 대로 '제주발전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지만 지역상인들의 처지를 돌봐야 한다' 입장과 '지역 상권을 감안할 때 절대 불가'라는 강. 온 논리가 팽팽한 가운데 칠성로 및 지하상가 상인들과 재래시장 상인들이 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대책위가 나뉘면서 당장 곤혹스러운 곳은 다름 아닌 개발센터.
천막농성 중단과 함께 한쪽 단체가 돌입하는 것에서처럼 범상인 비대위와 합의를 하면 범대위가 반발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잡음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탓이다.
도민들은 이와 관련 "단체가 결성됐으면 내부 규약 등에 의해 임원진을 정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상식"이라고 전제 한 뒤 "두 갈래로 목소리를 내는 것은 더욱 문제해결을 어렵게 할 뿐"이라면서 쇼핑 아웃렛 반대 상인들의 '숨고르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