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발적 다문화교육, 업역 정리 필요
"다문화센터장에 상임 전문가 영입하고
시교육청 산하 직제 도교육청 밑으로 개편해야"
26일 이석문 당선인 인수위, 다문화교육센터 관계자 간담회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도청과 시청, 교육청, 관련 단체 등에서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제주지역 다문화교육에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현재 실질적인 다문화교육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고 있는 제주다문화교육센터에 전문가 센터장을 영입하고, 이들이 제주도 전역의 업무를 맡고 있는 만큼 제주시교육청 산하에서 제주도교육청 산하로 직제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석문 교육감 당선인과 인수위원회가 26일 제주다문화교육센터를 찾아 관계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현장 관계자들은 업무와 조직의 괴리, 전문가 부족, 기관별 업무 중복을 피하기 위한 총괄부서의 신설 필요성을 이구동성으로 제기했다.
강원효 제주다문화교육센터장은 "업무는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데 센터는 제주시교육지원청 산하에 묶여 있어 서귀포지역 업무 추진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임정렬 제주시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도 같은 이유를 들어 "도교육청 조직으로 편제되거나 시교육지원청에 두려면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특히 질높은 교육 기획을 위해 현재 제주다문화교육센터를 전문가 센터장이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됐다.
센터의 한 직원은 "현재 제주다문화교육센터장을 제주시교육지원청 과장이 겸임하면서 비상임 체제로 가고 있어 조직의 경쟁력이 떨어질까 우려된다"며 "상임 전문가 센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정렬 국장 역시 "다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있어야 기획이 탄탄해지고 학교와 접촉시 업무 추진이 수월하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제주지역 다문화 교육의 전체적인 질을 높이기 위해 도 전역에서 기관별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다문화 교육 업무 영역을 분장해줄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들을 수 있었다.
일부 직원들은 "제주시교육지원청을 비롯해 도청과 시청 2곳, 도교육청, 민간 단체들까지 여러 곳에서 비슷한 업무를 추진하고 있어 업무와 예산 중복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이석문 당선인은 관계자들에게 기관별 역할과 예산 정리 자료 제출을 요청하고 차후 대안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석문 당선인은 이날 앞으로의 다문화교육 방향과 관련, "어머니, 아버지 나라에 대한 자부심을 채워주면서 아이들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등학생으로 성장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단순 한글 교육 지원을 넘어 고교생이 된 이들의 진로를 함께 고민해주고, 이중언어를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이 당선인은 우수한 실력의 원어민 교사를 20~30명 가량 채용, 직접 가정에 투입해 상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도 전역의 공립도서관을 다문화 교육 수업의 기지로 활용해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아울러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