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喪중 해외시찰...경박한 도정
2014-04-27 제주매일
현재까지 드러난 사실만을 놓고 볼 때 제주도는 지난 19일부터 9박 10일간의 일정으로 소속 공무원 20명을 대상으로 유럽지역 시찰을 벌였다. 공교롭게도 이들이 해외시찰에 나설 때는 세월호 참사 5일째인 지난 20일로, 당시에는 세월호 참사로 대규모 인원이 사망 또는 실종돼 전국이 비통에 잠긴 때였다. 이번 해외시찰에는 1인당 300만원씩 모두 6000만원의 세금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는 이와 관련, 당시 해외여행에 나서지 않을 경우 거액의 위약금을 물어야 해 여행취소가 어려웠다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궁색한 변명이 아닐 수 없다. 우리사회는 여전히 상(喪)중에는 각자의 처신을 바르게 하고 특히 고인(故人)에게 해가 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자제하고 있다. 이를 지키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단체도 예외가 아니다. 하물며 지방정부인 제주도의 경우는 더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엄숙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오죽했으면 이번 사태를 지켜보던 한 도의원 예비후보는 “허망하게 죽어간 생때같은 자식들을 가슴에도 차마 묻지 못하고 부모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국민들은 숨죽여 이를 지켜보는 상황이다. 생각할 것도 없이 위약금을 물더라도 가지 말았어야 했다”고 제주도를 힐책했겠는가.
물론 규정대로, 그리고 법대로 집행하는 행정행위를 나무랄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된 행정은 그 개개인이 행위에 도민들의 정서와 감정이 담겨야 한다. 말 그대로 법대로, 규정대로 행정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행정행위의 하나하나를 하면서 주인인 도민을 무서워하지 않고 또 이들의 정서를 담아내지 못한다면 이는 ‘하수의 행정’이 아닐 수 없다. 제주도는 이번 사태에 대해 이제라도 도민들에게 무릎 꿇어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 하기야 앞으로 2개월 남은 우근민 도정에 뭘 더 기대하겠나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