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쓰레기 대란’ 시민들에 떠넘기기 '논란'

김상오 시장, “규격봉투 아니면 수거 안 한다” ‘최후통첩’

2014-03-04     박민호 기자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결국 이 문제는 쓰레기를 버리는 시민들에게 달려있다.” 제주시가 최근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 문제를 시민들에게 전가하는 듯 한 발언을 해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최근 제때 수거되지 못한 쓰레기가 골목마다 쌓이면서 ‘쓰레기 대란’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김상오 시장의 이 같은 발언에 시민들은 “결국 모든 책임은 시민들에게 있다는 것 아니냐”며 행정을 향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4일 오전 제주시청 기자실을 찾은 김상오 시장은 호소문을 통해 “최근 봉개동주민들의 성상조사를 실시, 종량제 봉투 이외의 쓰레기 반입이 금지되고 있다”면서 “시민들이 쓰레기 배출 시 종량제 봉투와 재활용 분리배출을 지켜 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전 공무원이 클린하우스 청결 정비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시민들의 무분별한 쓰레기 불법 투기가 겹치면서 이 같은 상황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그러면서 “결국 이 문제는 쓰레기를 버리는 시민들에게 달려 있다”면서  “앞으로 종량제 규격 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쓰레기는 수거하지 않을 방침”이라며 시민들에게 최후통첩을 날렸다.

결국 ‘쓰레기 대란’에 대한 책임이 행정이 아닌 봉개동 주민과 제주시민들에게 전가하는 김 시장의 이 같은 발언을 전해들은 봉개동 주민들은 즉각 반발했다.

지난달 26일부터 봉개동 북부소각장에서 성상조사를 진행 중인 봉개동주민대책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 앞서 제주시에 공문을 발송하는 등의 절차를 이행했다”며 “마치 성상조사 때문에 쓰레기 대란이 생겼다는 식의 발언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이어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불법 쓰레기를 선별하는 성상조사는 매일 실시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동안 행정이 이를 방관 해 오다. 매립장 포화시기를 앞당긴 것인데 이를 주민들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시내 가연성 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200t, 하지만 소각시설 노후로 하루 처리량은 150t 남짓. 나머지는 매립장으로 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악순환은 결국  매립장 포화시기를 앞당겨, 당초 예상보다 2년여 빠른 오는 7월이면 봉개동매립장이 포화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