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濟州지사 출마설을 보며
정치적 이해득실(利害得失)이 없는 순수한 제주도민들은 새누리당 원희룡 전(前) 의원이 유력한 대권후보로만 성장해 뜻을 이루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런데 원희룡 전 의원은 오는 6.4지방선거 제주지사 출마를 놓고 매우 고심해 온 모양이다. 본인은 뜻이 없는 데 새누리당이 ‘차출론’을 띄우면서 등 뒤에서 떠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제주사회는 해석이 여러 갈래다. 일부에서는 차기 대권 경쟁에서 원 전 의원을 소외시키려는 고도의 정략(政略)이라고도 하고, 다른 일부에서는 이번 제주지사 선거에서 위기를 느낀 새누리가 원 전 의원을 전략공천 하는 한이 있어도 내세우려 한다는 해석이다.
새누리 속셈이 어떻든, 원 전의원으로서는 고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당을 거역하기도 어렵고, 당의 뜻을 따르려니 다음 대권가도(大權街道)에서의 이불리(利不利)를 셈 하지 않을 수도 없을 것이다. 그 동안 도지사 출마를 달갑지 않게 생각한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원희룡 전의원은 당의 권유를 이겨내지 못했음인지 연합 뉴스는 “원희룡 전 의원이 조만간 제주지사 출마를 선언 할 것”이라는 예측 기사를 내 보냈다.
물론, 원희룡 전 의원이 제주지사로 출마하느냐 마느냐는 전적으로 본인이 결정할 문제다. 그렇더라도 원 전 의원은, 오로지 지사 당선이 최종 목표인 다른 출마선언자들과 다르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깊게 생각해 주기 바란다. 왜냐하면 원 전 의원이 다행히 제주지사에 당선 되더라도 이력서 한 줄 늘어나는 것 외에 대권 도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원 전 의원은 이미 지사 이상의 능력이 있음을 전 국민이 인정하고 있지 아니 한가.
만약 그 반대로 당 후보경선에서든, 지방선거 본선에서든 낙선하는 날에는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지사 낙선이 문제가 아니라 대권의 싹이 꺾여버릴 수가 있는 것이다. 도내 상당수의 순수한 도민들이 원 전 의원의 지사 출마를 바라지 않은 것은 대권에 도전해야 할 인재를 아끼는 의미에서다. 만약 자치단체장에 뜻이 있다면 차라리 당-락을 떠나 서울특별시장에 도전 하는 게 바람직하다.
제주도 유사(有史)이래 제주출신으로서 가장 성공한 사람은 조선 때의 한성판윤(漢城判尹) 고득종과 조국 광복후 대통령권한 대행을 지낸 박경훈이었다. 이제 그 뒤를 이어 원희룡 전 의원이 대권에 성공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될지도 모를 올해 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지 말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