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빈곤층 전국 최고수준…서울의 2배

도내 근로빈곤층 7%…전남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높아

2014-02-25     신정익 기자

[제주매일 신정익 기자] 고용불안과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등으로 제주지역 근로 빈곤층(working poor)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이낙연 의원이 25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근로장려세제(EITC:Earned Income Tax Credit) 지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의 EITC 지급 비율은 7.0%로 전국 평균 4.5%보다 크게 웃돌면서 전남(7.0%)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EITC는 일자리가 없거나 벌이가 적은 근로 빈곤층에게 장려금을 지원해 근로의욕을 높이고 실질소득을 보장해주는 소득지원제도다.

가구형태에 따라 가구 소득이 적게는 1300만원에서 많게는 2500만원 미만인 근로자 가구에 연간 최대 210만원까지 지급된다.

제주지역 EITC 지급 비율이 높은 것은 그만큼 저소득 근로 빈곤층이 많다는 뜻이다.

지역별 EITC 비율은 제주 7.0%, 전남 7.0%, 강원 6.8%, 전북 6.7%, 경북 5.9%, 광주 5.6%, 충북 5.4%, 충남 4.9%, 대구 4.8%, 인천 4.6%, 대전 4.5%, 경남 4.4%, 부산 4.1%, 경기 4.0%, 서울과 울산이 각각 3.2%였다.

농촌지역 비중이 높고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곳이 EITC 비율이 높고, 서울과 울산 등 안정적인 고소득 취업이 가능한 지역의 EITC비율은 낮았다.

제주지역의 경우도 자영업과 비정규직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아 ‘고용의 질’이 열악한 실정이어서 근로빈곤층 비율이 높게 나오는 구조적 취약점을 안고 있다.

관광산업의 호황 등도 일용.임시직 근로자를 늘리는 데는 일정부분 기여를 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근로자들의 소득을 상승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여기에 기업들의 규모가 영세해 근로자 임금 수준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실제 국세청이 밝힌 2012년 도내 근로자 총급여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연평균 급여를 추산한 결과 2454만원에 그쳤다.

이는 전국평균(2960만원)의 83% 수준으로 17개 시.도 가운데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결국 정규직 상용 근로자의 비중을 높이면서 생산성 제고를 통한 임금수준을 현실적으로 끌어올리는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