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고 갈등, 교육청·체육회 不通 때문

2014-02-13     제주매일

체육고 설립을 둘러싸고 제주도 교육청과 도 체육회가 갈등을 빚고 있다. 자칫하다가는 감정대립으로까지 번질 공산이 크다. 문제는 도체육회나 도교육청 모두 체육고 필요성에는 공감 하면서도 실현성에 대해서는 양쪽이 전혀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는 데 있다. 그렇다면 체육고 설립을 놓고 필요성, 실현 가능성, 설립시기 등을 놓고 두 기관 간에 진지한 사전 논의를 거쳐야 함에도 서로가 불통(不通)인체 일방통행 식으로 추진하다 보니 사업추진 주체인 체육회와 교육행정 책임 기관인 교육청간에 티격태격 공방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발단은 제주도체육회가 체육고 설립 전 단계로 이미 제주대학교에 ‘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는가 하면, 지난 10일에는 ‘체육고 설립 기초조사연구 관련 공청회’를 열면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체육회의 행보를 보면서 교육청이 발끈한 것이다.
체육고도 엄연히 교육기관이다. 그럼에도 제주의 교육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도교육청의 뜻과 달리 체육고 설립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도교육청은 작정한 듯,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체육고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800억원 안팎의 설립예산, 학생자원의 부족 등으로 현재로서는 시기상조(時機尙早)다. 당장 추진 은 가능하지 않다”고 일축하면서 불쾌감마저 드러냈다.
이에 대한 체육회의 생각은 또 다르다. “아무런 근거도 없이 시기상조라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는 것은 잘못이며, 소요예산 800억 원과 학생 수요 부족문제도 명확한 자료를 토대로 산출된 것이 아니다”라는 주장이다.
공익사업이라 하더라도 그 추진과정에서 관련 기관 간에 갈등도 빚을 수 있고, 논쟁을 벌일 수도 있다. 사익(私益)을 떠나 공익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체육고 설립의 경우는 다르다. 공익사업 때문에 갈등을 빚는 것이 아니라. 공익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두 기관 간 소통부재로 감정대립 직전의 위험 단계까지 이르고 있다.
해법은 한가지다. 교육청과 체육회는 허심탄회하게 불통 대신 소통을 하라. 체육고 설립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필요성만으로는 안 된다. 예산이 따라야 하고 학생자원도 있어야 한다. 시기라는 것도 있다. 이 모두에 대한 진지한 사전 협의가 있어야 하고 서로 의기가 투합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성급함에 앞서 소통부터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