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개 쓰레기 매립장, 이설 약속 지키라
제주시는 ‘봉개동 쓰레기 매립장 2016년 타 지역 이설’ 약속을 지켜야 한다. 제주시 입장에서는 봉개동 주민들이 광역 쓰레기 매립장을 증설, 재연장 사용하는 데 동의해 주기만을 바라고 있다. 제주시민들 역시 당국과 봉개동 주민들 간에 타결이 이루어져 쓰레기가 원만히 처리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봉개동 주민들의 생각은 전혀 다르다. 제주시는 1992년부터 현재의 광역 쓰레기 매립장을 10년간 사용해 왔고, 기간이 만료되자 “2016년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는 상호 협약 체결에 따라 다시 10년을 더 연장, 현재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주민들은 제주시가 약속을 지켜 당연히 봉개동 광역 쓰레기 처리장을 이제는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게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그럼에도 제주시 당국은 광역 쓰레기 매립장 타 지역 이설을 추진하기보다 봉개동에서의 증설에 무게를 두고 있다. 오는 3월부터 봉개동 쓰레기 매립장 증설 공사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봉개동 쓰레기 매립장 대책위원회는 이를 결코 용납지 않고 있다. “2016년 타지역 이설 약속을 지키라”는 것이다. 이들은 “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매립장 증설을 강행할 경우 시설의 강제 폐쇄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큰 충돌이 예고되고 있다.
봉개동 쓰레기 매립장 증설에 관한 한, 제주시는 처음부터 크게 오산(誤算)하고 있다. 현재 가동 중인 쓰레기 매립장 포화 예상시기가 오는 7월 쯤이라면 2년 이상 걸리는 신규매립장 공사 기간을 감안, 후보지를 미리 확보해야 함에도 봉개동 주민들의 양보만 믿고 시일을 질질 끌다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그렇더라도 제주시가 봉개동 주민들을 결코 탓할 수 없게 되었다. ‘2016년 다른 지역 이설’약속을 어겨 거짓말을 한 제주시가 잘못이지, “약속을 지키라”는 봉개동 주민들이 잘못이 아니지 않은가.
제주시가 새로운 광역 쓰레기 매립장 후보지를 다른 지역에서 조속히 물색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봉개동에서만 기간을 연장해 가면서 20여 년간 쓰레기 매립장을 운영해 왔으면 됐지, 약속을 어겨 10여 년이나 더 피해를 강요하는 것은 주민을 업신여기는 처사다. 봉개동 사태가 ‘쓰레기 대란’과 더불어 ‘제2 강정해군기지 사건’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