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실없는 습관성 행정, 비난 자초

제주시, 홍조단괴 해빈 조사용역 2년 만에 재발주 논란

2014-01-21     박민호 기자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제주시가 우도면 홍조단괴 해빈(천연기념물 제438호) 유실 원인 등을 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 용역을 재발주 하면서 내실없는 습관성 행정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17일 열린정보센터 6층 회의실에서 홍조단괴의 유실 원인분석 및 내실 있는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모니터링 및 조사연구 용역’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제주시 문화재관리 관계공무원 외 용역수행기관인 ㈜미래해양 용역진 3명, 중앙 문화재위원 및 문화재청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 6명 등 15명이 참석했으며, ㈜미래해양으로부터 착수보고 자료 발표에 이어 전문 자문의원들이 차례로 의견을 제시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자문위원들은 우도 홍조단괴 해빈은 희귀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인데도 현재까지 연구자료가 거의 없어 충분한 기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최대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문제는 제주시가 약 2년(2011~2012년)전 비슷한 성격의 용역을 실시, 홍조단괴 해빈의 유실 원인을 규명했다는데 있다.

당시 제주시는 제주대학교 윤정수 교수팀에 의뢰 ‘홍조단괴 해빈 유실 원인에 대한 연구조사’를 진행, 홍조단괴 해빈 중앙부 호안벽과 해안도로의 영향으로 해빈 순환구조가 깨지면서 해빈이 사라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제주시는 문화재청의 승인을 받아 우도 홍조단괴 해빈의 보존관리 계획을 수립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제주시는 “이 문제는 장기적으로 풀어야 하기 때문에 단 한 번의 용역 결과로 해결할 순 없다”면서 2년 만에 비슷한 용역을 재발주,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것이다.

오는 11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용역은 1억5000만원(국비 1억500만원, 지방비 4500만원)의 예산을 투입, 우도면 연평리 2215-5번지 홍조단괴 해빈 일원에 대한 측량조사(비사량 및 풍향·풍속, 수중구조물)와 해양조사(파랑, 조류, 해빈류) 등이 진행되며,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침식원인 분석 및 침식방지 및 보전대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용역 재발주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부산의 경우 해운대 유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난 20년간 30번의 용역을 실시했다”면서 “이번 용역을 통해 홍조단괴 해빈의 유실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혀내고 복원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사결과 1차 용역과 비슷한 결과가 도출된다면 문화재청과 협의해 보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조단괴 해빈은 홍조류가 돌멩이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형성된 것으로 길이 약 300m, 너비 약 15m의 해안에 분포돼 있으며 200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