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기념품 판매점제 폐지 잠잠
업계 항의 및 자정노력 병행 영향…정부 정책 결정 추이 관심
[제주매일 진기철 기자] 정부의 ‘외국인전용 관광기념품 판매업’제도 폐지 움직임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모습이다. 이는 정부의 폐지 방침에 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는데다 자정노력도 함께 병행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이날 현재 도내 외국인전용 관광기념품 판매점은 42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17개 업체는 2012년 문을 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187개 업체가 운영 중이다.
당초 정부는 이들 판매점에 대해 단계적으로 면세점 전환을 유도한다는 방침이었다. 이 같은 조치는 일부 업체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기념품 구매를 강요하거나 바가지요금을 매겨 제주 등 한국 관광의 수준을 떨어뜨린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부의 제도 폐지 방침이 알려지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에 ‘폐지 철회’를 요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한데 이어, 최근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쇼핑가격을 대폭 낮추기로 했다.
외국인 관광객을 억지로 기념품 판매점에 데려가는 이른바 ‘싸구려 관광’의 폐단을 줄이기 위한 가격인하 움직임이다.
한국여행업협회는 최근 기념품판매점비상대책위와 합의, 오는 4월부터 전국 외국인전용 기념품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수수료를 낮추기로 했다. 합의안에는 관광 기념품에 대한 판매가를 인하하고, 여행사나 가이드에게 돌아가는 수수료도 일정 비율 이하로 제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관련 도내 기념품점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밝힌 ‘기념품 쇼핑 강요’ 등의 문제가 일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개선노력이 따르고 있는 만큼, 추진상황을 지켜본 후에 결정(제도 폐지)해도 되지 않겠느냐”며 조심스런 의견을 내놨다.
이에 따라 정부의 ‘폐지 방침’에 대응한 업계의 강력한 항의와 개선방안이 정책 결정에 어떻게 작용할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