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유족회, ‘교학사 사태’ 미온 대응 논란

지난 10일 교육부 확정발표 이후 행보 감감
승인가처분 신청은 민주당에 일임

2013-12-18     문정임 기자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정문현)가 교육부의 4·3왜곡 교과서 승인 문제에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유족회의 주요 임무가 희생자의 명예회복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장 내년부터 학생들이 배우게 될 교과서(선택시) 왜곡 사태에 누구보다 앞장서서 대응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는 지난 17일 본 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유족회 산하 부녀회·청년회의 이름으로 ‘교학사 교과서 승인 취소’ 결의문을 채택했으나 사안에 비해 대응이 약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했던 한 4·3문화계 관계자는 “이날 토론의 주제였던 ‘추념일 지정’과 관련해서도 전문가들은 4·3사건의 진상과 성격을 국민들에게 먼저 제대로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며 “교과서 문제는 제주 밖 사람들이 4·3을 어떤 관점에서 인지하게 할 것인지에 영향을 줄 중요한 사안인데 반해 유족회의 소극적인 포즈는 아쉬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일선학교에서 오는 30일까지 교과서를 선택하게 된다”며 “교육부의 결정을 되돌리지 못 하더라도 이에 반대하고 분노하는 움직임을 외부에 표출할 필요는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0일, 교육부가 4·3을 왜곡·기술한 교학사 교과서를 최종 승인하자 민주당 제주도당과 민주당 소속 제주지역 국회의원 3인이 긴급 성명을 내고 교육부를 비난한 반면 유족회 측에서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그보다 앞선 지난 2일 4·3유족회가 도내 11개 시민사회단체와 기자회견을 갖고 교육부를 맹비난한 것과는 전혀 다른 행보다.

당시 정문현 유족회장은 “교육부가 교학사에 내용수정을 지시하긴 했지만 단어 몇 개 고치는 수준에 머물렀다”며 '전반적인 손질'을 촉구했고, 이날 유족회를 비롯한 12개 단체들은 교학사 교과서 검정승인 취소와 함께 서남수 교육부 장관의 퇴진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민주당 도당이 교학사 교과서 승인취소 가처분 신청을 추진키로 하고 협조를 구하자 원고 적격자인 유족회는 미온적인 자세를 보이다 최근 ‘민주당이 주축이 되는 것을 전제’로 참여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문현 유족회장은 “지난 10일 교육부 발표이후 관련 단체와 논의했지만 일단 두고 보자는 의견이 많았고 이후에는 17일 토론회 준비와 18일 국가추념일 지정 촉구를 위한 세종시 국무총리실 방문 등으로 일정이 빠듯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석문 교육의원은 18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최종 승인한 제주 4·3관련 한국사 교과서가 왜곡·부실로 문제가 있다"며 재차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