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왜 한라大에 머뭇거리나
제주대교수회와 제주한라대교수협의회, 진실과 정의를 위한 제주교수 네트워크가 노사 문제 등으로 파행을 겪고 있는 한라대문제에 대해 일갈했다. 이들 교수는 최근 ‘제주지역 대학의 공공성 강화와 민주적 발전과제’를 주제로 하는 세미나를 개최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에서 이들은 “한라대가 편법적인 대학평의회 구성과 독단적인 대학운영, 인사비리와 노사 갈등으로 대학의 공공성이 상실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한라대 경영진의 이성을 회복할 것과 민주적인 대학 운영도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사학에 대한 지도감독 업무를 가진 제주도정에 대해서 쓴 소리를 잊지 않았다. 이들은 제주국제대에 대해 별다른 정책을 전개하지 못했던 과거 정부(교육부)의 잘못을 지적한 뒤 한라대 또한 제주국제대와 같은 전철을 가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고 강조했다.
대학은 기본적으로 고도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갖고 있다. 이는 국공립대학뿐만 아니라 사학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대학 자율은 대학조직 운영과 학사운영에서 공공성과 투명성, 그리고 조직원들의 자발적 동의가 뒤따라야 함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그런데도 대학운영을 둘러싸고 외부에서 독단적 운영과 공공성 상실 등을 내세우는 지적들이 나온다면 이는 분명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모처럼 정상화 절차를 밟고 있는 제주국제대의 과거 행적은 사립대학의 구조적 폐단을 도민들에게 고스란히 들춰냈다. 한라대 문제에 대한 제주도의 적극적인 지도감독권 발동이 반드시 뒤따라 한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제주도에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