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탐라大 부지매각, 지역 民意가 우선
제주국제대학교 이사회가 최근 제주도에 옛 탐라대 부지 매각 승인신청서를 내면서 지역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국제대학의 입장은 옛 탐라대 부지매각을 통해 학교의 재정 건전성을 끌어올림으로써 학교 정상화의 시발점으로 삼고, 더 나아가 경영부실대학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도 떨쳐내겠다는 것이다. 국제대는 이와 관련, 현재 교육용으로 돼 있는 부지를 수익용으로 재산으로 ‘용도전환’은 하겠지만 ‘교육용’ 지목은 변경하게 않겠다는 일종의 절충안을 내놓았다.
옛 탐라대 부지문제는 이 지역주민들과 상당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마을 주민들은 1995년 대학유치라는 이유로 당시 생계수단이었던 목장을 헐값에 내놓았다고 지속해서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은 더 나아가 학교 부지는 도시계획시설 학교용지로 돼 있어 학교 및 교육시설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학교부지 매각의 부당성을 내세우고 있다.
사립대학 운영권에 대한 관리권을 행사하고 있는 제주도는 국제대 정상화를 위해 기존 국제대 이사진을 사실상 퇴출한 뒤 새로운 인사들로 이사진을 구성했다. 이처럼 제주도가 특단의 대책을 단행하면서 국제대 문제는 정상화로 진입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새로운 이사진들 또한 종전 이사진들이 추진해 온 것과 크게 달라진 모습을 보이지 않아 실망감을 주고 있다. 적어도 옛 탐라대 부지처리문제의 경우 사전 지역주민들과 충분한 논의와 더 나아가 서귀포시 또는 제주도와도 머리를 맞대 고민했어야 했다. 서귀포시 더 나아가 산남지역 측면에서 볼 때 산남 대학유치는 지역발전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 가운데 하나다. 또 제주도 입장에서 볼 때도 서귀포지역 대학유치는 제주도 균형발전이라는 차원에서라도 필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국제대 재정건전성과 서귀포지역 주민들의 염원이 합치되는 해결책이 모색돼야 한다. 이 같은 차원에서 국제대 부지를 지방정부가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상황이다. 제주도는 대규모 관광개발 등을 위해 비축토지를 매입하고 있는데 이 연장 선상에서 옛 탐라대 부지를 구입해 새로운 교육시설 또는 대학유치에 활용할 수 있는 대책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정책이라도 결국 민의(民意)를 등지고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