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전복, 치패만 출하하고 다 자란 것 들여와”
김경택 (사)제주미래사회연구원 이사장 ‘들보느 대장정’ 성산 탐방
2013-12-01 이정민 기자
1일 (사)제주미래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김경택 이사장은 지난 27일 서귀포시 성산읍 탐방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야기된 일본 방사능 때문에 국내 소비시장 위축 등 다중고를 겪고 있는 제주 양식업 종사자들에게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성산읍 오조리 전복 양식장을 방문한 김 이사장은 “제주는 완도를 능가하는 전복 양식의 최적지임에도 불구하고 전복 사료로 쓰이는 다시마와 참모자반 등의 부족으로 치패만을 생산, 완도로 출하하고 거꾸로 다 자란 전복을 들여오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치패 기술 생산과 다시마 등 사료 양식 기술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광어 등 다른 양식업 수준의 기술 및 시설비 지원이 이뤄진다면 전복 양식은 제주 바다의 블루오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또 “제주도정은 (전복)방류 사업 선정 시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과 마을 어촌계를 대상으로 심도 있는 연구 조사를 통해 최적지를 선정하고 집중 방류해 관리한다면 방류 후 다시 잡히는 비율인 ‘전복 재포율’이 현행 15%정도에서 급상승해 어민 소득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