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명칭 '4.3희생자기념일'로 해야"

'2013 제주4.3국제평화심포지엄'서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주장

2013-11-07     고영진 기자

[제주매일 고영진 기자] 제주4.3이 일어났던 4월 3일을 ‘제주4.3사건 희생자 추념일’로 지정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4.3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기념일 명칭을 ‘4.3희생자기념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7일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열린 ‘2013 제주4.3국제평화심포지엄’에서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는 ‘과거사 추념과 국가기념일’을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서 이 같이 주장했다.

서 교수는 “4.3사건은 우리 민족 최대의 비극에 들어간다는 점에서 국가기념일로 지정돼야 한다”며 “4.3이 과거사 추념과 국가기념일 지정의 대상이 되는 주된 이유는 희생자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4.3의 국가기념일 제정을 앞두고 시급히 처리해야 할 과제가 기념일 명칭”이라며 “명칭과 관련해 ‘왜 국가기념일로 지정해야 하는가’하는 논리를 명료히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또 “법정기념일은 기념일이 역사적으로나 국가 정책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이나 일부 집단 및 각종 이해단체에만 국한되는 날은 제외하게 돼 있다”며 4.3도 3.15의거와 5.18민주화운동처럼 특정 지명은 제외돼야 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4.3사건기념일’은 4.3사건을 기념한다는 뜻이므로 무엇을 기념하는지가 불분명하고 ‘4.3기념일’ 또는 ‘4.3추모기념일’로 할 경우 제주도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만 다른 지역 주민들은 무슨 기념일인지 알기 어려울 수 있다”며 “‘4.3희생자추모기념일’은 추모와 기념이 의미하는 바가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있고 국가기념일이 대개 기념일이라는 명칭을 가진 것을 생각하면 ‘4.3희생자기념일’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피력했다.

서 교수는 “국가기념일이기 때문에 명칭은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며 “제주도민 의견도 중요하지만 일반 사람 가슴에 와 닿아야 한다”고 밝히며 각계 전문가들과의 공청회를 제안했다.

이와 함께 서 교수는 국가기념일 지정이 마무리될 때까지 방심하지 말고 최선을 다할 것을 주문했다.

서 교수는 “박근혜 정부가 국가기념일 지정을 약속하고 지난 6월 4.3특별법 개정안 국회 통과를 통해 4.3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확실히 했지만 방해.반대 세력이 만만히 않기 때문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는 순간까지 방심은 금물”이라며 “4.3희생자 국가기념일 추진 기구는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공청회 등을 열어 명칭 등 관련사항을 구체화하고 국가기념일 지정이 내년 4월 3일 이전에 반드시 이뤄지도록 철저히 점검하고 대응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