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출마 선언자, 긴급 정책연석 회의 제안"

신구범 전 지사, 31일 기자회견서 주장…"우 지사, 정당 선택 아닌 재선충병 확산 도민 사과 우선"

2013-10-31     고권봉 기자
[제주매일 고권봉 기자]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가 중국자본 투자 등에 따른 도민 불안해소를 위한 관광업계 및 시민단체, 그리고 김경택 전 정무부지사, 김방훈 전 제주시 행정시장을 포함한 내년도 도지사 선거 출마 선언자가 함께 참여하는 긴급 정책연석회의를 제안했다.

신 전 지사는 31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요즘 제주사회가 매우 혼란스럽고 불안하다”며 “전·현직 도지사들이 집권여당인 새누리당 문전에서 판을 벌인 정치철새 노름, 제주 도정 부재중, 확산되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그리고 걱정거리인 중국자본 투자와 중국인 관광객 급증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 전 지사는 “이 가운데서도 특히 중국자본의 부동산 매입 열기와 투기성 개발 의혹 때문에 이러다가 우리가 중국의 현대판 식민지가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와 불안이 도민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나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신 전 지사는 “이러한 우려와 불안의 근본적 원인이 중국자본이나 중국관광객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면서 “그 원인은 바로 제주도정의 70년대식 개발철학과 정책부재, 그리고 여행업 등 관광업계의 과당 경쟁과 해외관광객 현지 모객 노력 부족 등 경쟁력 부재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신 전 지사는 “시대착오적 개발정책과 고질적 병폐 등 경쟁력 저해 요인을 과감하게 개선해 ‘선보전 후개발’ 정책을 정착시키고 제주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은 이제 더는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전제한 뒤 이러한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신 전 지사가 제안한 정책 대안을 살펴보면 ▲중산간 지역 내 일정규모 이상 토지거래 또는 도지사 지정 지역 내 토지거래에 대한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제주투자진흥지구 지정 24개 대상 업종 중 ‘분양 목적의 토지개발 및 종합·전문휴양업’ 제외 ▲(가칭)제주관광여행업 사회적 협동조합의 관광협회 등 관련 업계 공동 설립 ▲관광직 공무원 직렬을 신설해 관광전문 공무원을 양성 등 4가지 안이다.

한편 신 전 지사는 최근 우근민 제주도 지사의 새누리당 입당설과 관련해 “정당 선택에 대해 결단을 하는 것은 100% 자유 의지라고 생각한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제가 판단하기에는 제주 지역의 재앙인 재선충병 해결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고 제가 우 지사라면 정당 가입보다 먼저 도민에게 사과하고 재선충 문제를 해결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