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제주시 親水公園 행정’
제주시는 산지천 제4저류지에 친수공원(親水公園)을 조성키로 했다가 설계까지 변경해 가면서 이를 배제해버렸다.
산지천 제4저류지는 제주시가 홍수 조절을 위해 신산공원 내 1만7300㎡ 면적에 조성한 일종의 ‘물가둠’ 시설이다.
제주시는 사업계획 수립당시 홍수조절을 위한 제4저류지를 설치하는 바에 이왕이면 신산공원과 연계한 산책로, 조경 등 시민 휴식을 위한 ‘친수공원’까지 함께 조성키로 했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친수공원’ 조성비 3억5000만원을 포함, 총32억2400만원을 들인 이 사업에서 친수공원은 싹 빼버리고 ‘저류지’만 지난 6월 완공 한 채 사업을 마무리해버렸다는 것이다.
당초 이 사업에는 주민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관심의위원회는 “저류지에 상시 일정 수준의 수위(水位)를 유지 할 수 있는 담수(湛水) 조치”를 조건으로 통과시켜 주었다. 친수공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제주시는 경관심의위원회의 재심의나 주민들의 의견도 묻지 않은 채 제멋대로 설계를 변경해 가면서 친수공원을 백지화해버린 것이다.
제주시 행정이 제대로 된 행정이라면 설사 상급청이 예산 등을 이유로 친수공원 조성을 막더라도 시민 휴식처로서 필요하다고 설득, 성사시켜야 옳다.
제주도는 어디를 가나 강물과 자연 호수가 없는 고장이다. 재원이 넉넉한 자치단체라면 시민들을 위한 인공호수라도 만들어 유원지를 조성해 주어야 할 환경이다. 이러한 휴식처야말로 시민들의 정서를 순화시키고 건강한 삶을 누리는데 알게 모르게 도움을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시는 예산이 확보돼 설계에까지 포함 됐고 경관심의위원회까지 통과 된 산지천 제4저류지의 친수공원을 시당국의 독단으로 제외해버린 것은 도무지 납득이 되지 않은다. 제주시 행정이 완전히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다.
제주시 얘기로는 “신산공원 이용시민의 안전을 우려해 설계를 변경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해 할 수가 없다. 쉬파리 무서워 장 안 담그는 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