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 대재앙, 道政 失策탓이었다
제주도 전역을 덮친 소나무 재선충 대재앙은 전적으로 제주도정의 실책(失策) 탓이었다. “매년 4월까지는 소나무 재선충 확산을 막기 위해 고사목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는 산림청의 지침을 제주도정이 이행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제주도정의 큰 실책이자 직무유기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은 산림청이 국회 김우남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國監) 자료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제주도내 소나무 고사목은 산림청 지침에 의해 올해 4월까지 완전히 제거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5월까지도 무려 4800여 그루나 남아 있었다는 것이다. 재선충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의 유일한 번식처인 소나무 고사목을 다량 방치하고 만 것이다.
이 때문에 4월 이후 잠복기를 벗어난 재선충이 극성을 부려 지난 9월 20일 기준, 도내 소나무 고사목은 7만8000여 그루로 엄청나게 증가해 버렸다. 죽은 소나무 4800 그루를 처리하지 못해 7만 그루가 넘는 시퍼런 소나무를 말라 죽게 했으니 직무를 태만하게 만든 그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할 일이다.
어디 7만여 그루의 소나무 고사로만 끝날 일이 아니다. 이 죽은 소나무 7만여 그루를 다시 내년 4월까지 !00%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가로막고 있다. 만약 이것마저 실패한다면 내년까지 새로 9만여 그루의 소나무가 말라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뒤늦게야 제주도가 ‘재선충과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고위직마저 정신을 어디에다 팔고 있는지 소나무 고사목은 점점 불어만 가고 있다. 이런 상태라면 올해 4월까지 4800그루의 소나무 고사목마저 처리 못한 제주도정의 실력으로서 내년 4월까지 7만여 그루를 완전히 제거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제주도는 이미 호미로 막을 수 있었던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엄청난 예산과 인력의 낭비만 가져 오고 있다. 미리 막을 수 있었으나 막지 못한 대 재앙과 같은 비상상황, 이래 놓고도 책임질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말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