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직선 동의안 부결’이 남긴 교훈

2013-09-17     제주매일

최근 행정시장 직선제 찬-반 여론조사와 이에 대한 도의회 동의안 부결 과정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태들을 보면서 제왕적 도지사를 꿈꾸는 지망자들은 많은 교훈을 얻었을 것이다.
중요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왜곡된 여론조사, 관변단체 동원, 억지 성명서와 관권 동원 등 도 이제는 결코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 줬기 때문이다.
지금은 제왕적 도지사가 뭐라 하든, 각종 단체가 어떠하든, 누가 성명을 내든, 도민들은 그 진정성과 저의를 가늠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만큼 도민 수준이 향상 됐음을 뜻한다.
이번 예만 해도 그렇다. 여론조사에서 ‘시장직선 찬성’이 85.9%였지만 이를 믿는 도민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내용을 모른다는 응답이 50.7%인데 어떻게 찬성이 85.9%냐”는 것이다.
관변단체 성명발표도 그렇다. 도의회 동의안 처리 4일을 남겨둔 시점에서 주민자치위원협의회, 제주시-서귀포시 이장단 협의회 등의 이름으로 시장직선제 찬성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모든 회원들의 뜻인 냥 이미지를 심어 주려 했다.
그러나 도의회가 행정시장 직선제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주민자치위원의 경우 선호도는  49.5%로 50%를 넘지 못했으며, 찬-반에서는 찬성이 67.1%인 반면 반대도 32.9%나 돼 적지 않았다. 이는 곧 발표된 성명이 회원 전체의 뜻이 아님을 말해주고 있다. 다른 관변단체의 신문광고도 같은 범주를 벗어 날 수가 없다. 앞으로는 누가 제왕적 도지사가 되든, 권모술수로 도민을 속이거나 도의회를 경시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긴 것은 큰 소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