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록 여행사…무자격 가이드 시장 진입 원천 차단해야

넘쳐나는 중국인 관광객, 그 明과 暗
<下> 더욱 활개치는 무등록 여행사
대기업·중국자본 지역 관광업계와의 협력책 마련 시급

2013-09-04     진기철 기자

중국인 관광객이 큰 손으로 부상하며, 이들을 모시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하지만 제주관광은 양적인 성장에 주력한데 따른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정책의 방향설정이 다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선 무등록 여행사와 무자격 가이드의 시장진입 차단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무등록 여행사와 무자격 가이드가 더욱 활개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저가 관광상품을 양산할 뿐만 아니라, 제주관광 이미지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안길 수 있다는 것. 업계에서는 적어도 3분1이상이 무자격 가이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가이드는 관광객이 제주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떠날 때까지 이들과 함께한다. 최 접점에서 관광객을 상대하면서 제주관광 이미지를 각인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때문에 무자격 가이드에 대한 병폐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단속 및 제재 강화, 체계적 양성과 처우개선 등이 무엇보다 선결돼야 할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대기업 및 중국자본의 제주진출 가속화도 문제가 되고 있다. 주로 지출이 이뤄지는 쇼핑 장소가 국내 대기업이 운영 중인 면세점을 제외하고 나면 대부분 중국자본이 운영하고 있는 화장품점 및 잡화점 등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소위 말하는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운영하면서 자금 유출이 심화되고 있음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 및 중국자본 등이 제주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과 함께 제주지역 관광업계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 동반성장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부동산투자 이민정책’이 부동산시장 과열 등의 문제로 번지면서 이 제도의 보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해외 관광시장이 고부가가치 시장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지나친 실적을 의식한 나머지 관광객 수 채우기에 집중하다보니 많은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면서 “제주관광 체질개선과 더불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쟁점이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전 방위에서 해법 찾기에 고민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