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감사위 어쩌다 이 지경까지
제주도감사위원회가 서귀포시 소속 한 공무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개인 PC의 IP'를 요청한 데 대해 해당 공무원이 공개적으로 반대 주장을 내보여 파문이 일고 있다. 제주도감사위원회가 조사를 벌이는 상황에서 현직 읍장이 외부 언론 기고를 통해 “읍장을 파헤쳐서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반발하고 나서면서 공직 사회는 물론 이를 보는 도민들까지 황당하게 만들고 있다.
급기야 감사위원회가 해당 읍장의 공개 기고에 해명자료까지 내놓으면서 이 문제는 더는 덮고 넘어가기가 어렵게 됐다. 가뜩이나 제주도감사위원회 입장에서는 최근 ‘삼다수 무단반출 문제’로 제주도개발공사에 대한 감사와 관련, ‘봐주기 감사’라는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어서 더더욱 난처한 처지에 처하게 됐다.
문제는 이번 사태가 제주도감사위원회의 위상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역 내 현안 또는 민감한 정치적 논쟁이 있을 때마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싫든 좋든 각종 현안과 직.간접적으로 연루되면서 중립성 논란에 중심에 서 왔다. 그런데 이제는 외부적이 이 같은 문제와 달리 피감기관 공무원으로부터도 공개적으로 문제를 추궁당하는 처지가 됐다.
어떤 형태로든 조직원은 특히 공직자는 법률상 부여된 감사기관으로부터의 감사 또는 조사를 거부해서는 안 되며 설령 절차와 방법이 부당하다고 할 경우에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이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공직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사안인데도 이를 외부에 공개하고 상대의 잘못을 추궁한다면 이는 결국에는 공직기강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또 이 같은 행태에 대해 박수를 보낼 도민도 거의 없을 것이다. 감사위원회가 한 점 의혹 없이 투명하게 조사해 그 결과를 공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