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반상회’보다 근본 대책 모색을
25일 도내 일원에서 특별반상회가 열린다. 그 이유는 올여름 잇단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즉 특별반상회를 통해 도민들에게 에너지 위기를 확산시키고 또 전기절약을 유도하겠다는 지방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
제주지역 에너지 문제는 수년 전부터 중심을 잡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섬이라는 특성상 만약의 상황에 대비한 자체 전력 확보 대책이 마련돼야 하지만 그 대책은 매번 겉돌고만 있다. 결국 제주는 타지방과 연계된 해저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 대부분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국적인 전력난은 물론 해저 송전선로 파손 등의 사고 때에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제주도의 의뢰로 ‘LNG 발전설비 도입 타당성 조사’를 벌인 제주대학교 전기에너지연구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제주지역의 안정적 전력 공급이나 에너지 자립 면에서 우선 LNG 발전설비를 건설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제주 LNG 발전소 건설을 통해 전력수급 불안 해소와 함께 에너지자립의 중요성을 판단했다.
제주도는 최근 박근혜 정부에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수정)에 제주 LNG 발전소(30만㎾ 규모) 건설 반영 등을 건의했다. 얼마 전 제주에서 열린 한 에너지 관련 토론회에서 김준동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에너지를 자주적으로 수급하겠다는 제주도민의 열망에 대해 충분히 공감 한다"며 "도민 스스로 마음을 열고 공감대를 만들어나가고 사업성을 포함한 그림을 잘 만들어간다면 (LNG발전소 건립에 대해)소통하는 자세로 제주도와 협의 하겠다"고 밝히는 등 정부차원에서도 그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음을 시사했다. 결국 이제 남은 과제는 제주도가 정부를 어떻게 설득해 이를 관철시켜 나가느냐 하는 것이다.
솔직히 요즘 세상에 반상회에 나오라고 하면 몇 사람이나 모일지 의문이다. 가뜩이나 불쾌지수가 높은 여름 장마철 사람들을 불러 모아 해묵은 아이템인 에너지 절약홍보전 이나 벌인다면 과연 몇 사람이 이에 수긍할 것인가. 결과가 뻔한 반상회에 사람들을 불러 모을 것이 아니라 문제의 근원을 풀 수 있는 대책추진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