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업 총량제 도입 절실”
“관광지업 총량제 도입 절실”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2.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사 관광지 난립으로 경영난 가중…정책 전환 필요

제주지역 관광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관광지업 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도관광협회는 28일 더호텔에서 포럼회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지역 관광지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12 제2차 제주 신 관광 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고승익 제주관광학회장은 ‘제주지역 관광지업 경쟁력 강화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도내 사설관광지는 유사 관광지 난립과 여행패턴의 변화, 저가 중국 관광상품 판매에 따른 무료 관광지 안내가 주를 이르면서 관광객이 감소하는 등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관광지업 총량제 도입 필요성을 피력했다.

관광지 난립으로 인해 상당수 관광지가 공표요금의 절반 이하까지 할인하는 등 가격경쟁이 심화돼 경영난이 초래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도내 관광지 수는 500만명이 방문한 지난 2005년 행정관리(13개소), 사설관광지(16개소) 등 29개소에 불과했지만 970만명의 관광객 입도가 예상되는 올해에는 현재까지 135개소(행정 53, 사설 82)까지 증가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고 회장은 “도내 관광지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관광지업 총량제 도입, 인허가 조건을 강화하는 등 진입장벽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무료 관광지의 유료화 및 행정에서 관리하는 관광지의 요금 정상화 ▲관광지업 전기요금 산업용 적용 ▲수수료 상한제 실시 ▲적정 입장요금 책정 ▲과도한 할인판매 자제 ▲ 관광지업 인허가·요금·통계 관리 및 행·재정적 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관광조직 확대 등도 함께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