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감귤은 단속하고 하우스감귤은 단속하지 않는 이유가 뭐냐”
비상품으로 분류된 감귤 ‘1번과’문제와 관련 이중 잣대를 들이대는 제주도의 태도가 도마에 올랐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김희현)는 23일 제300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로부터 ‘2012년산 노지감귤 유통처리 대책’을 보고 받았다.
이날 업무보고의 쟁점은 ‘1번과’ 처리문제. 현재 제주도는 감귤유통명령제를 통해 ‘1번과’를 비상품으로 분류, 출하를 막고 있다. 하지만 하우스감귤에 대한 단속은 하진 않는 상황. 같은 ‘1번과’인데도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현우범 의원은 “같은 온주밀감인데, 노지감귤(1번과)은 단속하고 하우스감귤은 단속하지 않는 이유가 뭐냐”며 “지난해 비상품 수매를 보면 ‘0번․1번과’는 거의 없었다. 농․감협 출하 시 1번과는 30%정도만 비상품으류 처리되고 70%는 출하됐다. ‘1번과’만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유통업자도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노지감귤의 경우 출하시기(10월과 3월) 가격조절 등의 이유로 집중단속을 펼치고 있지만 하우스감귤은 출하시기(하절기)가 달라 단속 인력․예산문제 등으로 단속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현 의원은 “단속을 하라는 게 아니라 노지감귤 1번과도 상품으로 전환하라는 얘기다. 감귤출하연합회도 ‘1번과’ 출하를 요구하고 있고 하우스감귤을 접한 소비자들도 ‘작은 감귤이 맛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출하단체와 소비자 모두 ‘1번과’ 출하를 요구하고 있는데 제주도만 안된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답변에 나선 강관보 농축산식품국장은 “올해는 이미 방침이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단속을 철저히 해 시장교란을 최소화하겠다”며 “1번과 출하 문제는 찬·반 의견 있다. 감귤 농업인․농업단체 등과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올해산 감귤 출하량 증가하면서 소과(1번과) 출하도 증가하는 등 처리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비상품으로 분류된 1번과의 경우 지난 2차 관측조사에서 13.5%(7만500t), 극조생 조사에서 19.9%(최대 45%)로 지난해 3.1%에 비해 7배 가까이 증가, 때문에 감귤 상품을 크기가 아닌 당도 기준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허창옥 의원은 “중장기적으로 맛으로 승부를 거는 정책으로 전환이 돼야 한다. 크기가 아닌 당도를 기준으로 상품·비상품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56만t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산 감귤의 경우 출하량이 급증, 지난 20일까지 1만9848t이 출하됐다. 이미 올해 예상 생산량의 3.5%를 처리했다. 늘어난 출하량은 가격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올해산 감귤(10kg)은 1만4687원으로 지난해(1만8511원) 보다 20.7% 하락했다. 하지만 산지 포전거래는 3.75kg(관당) 3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산지 유통인 수매 단가는 4000원~4500원으로 거래돼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