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예멘난민 반감 여전
수용 반대·제한 수용 ‘87.1%’
한국사회 예멘난민 반감 여전
수용 반대·제한 수용 ‘87.1%’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7.1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사회여론조사 연구소 7월 정례조사결과 발표

우리나가 국민들은 여전히 예멘 난민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난민으로 받아들일 경우 난민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사회연구조사연구소는 16일 7월 정례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제주도에 들어와 있는 예멘 난민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43.4%는 ‘취업 등 다른 의도로 들어왔기 때문에 난민이 아니’라고 말했고, 32.8%는 ‘자국의 내전을 피해 온 난민’, 23.8%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난민이 아니’라는 응답은 20대(53.3%)․30대(51.7%)가 가장 많았고, 권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50.4%)․서울(47.1%) 순으로, 직업별로는 학생(56.0%)이 높게 나타났다.

제주에 입국한 이들이 ‘난민’이라는 응답층은 40대(44.2%), 강원/제주(47.2%) 순으로 나타났다,

난민 수용 논란과 관련한 조사에서는 ‘엄격한 심사를 통해 제한적으로 수용해야 한다(70.2%)’ 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였고, ‘난민은 절대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 16.9%, ‘인도적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10.7%로 나타났다.

‘난민수용 반대’ 혹은 ‘제한 수용’ 의견을 보인 응답자 867명(87.1%)에 거부감의 원인에 대해 물어본 결과, ‘난민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44.7%)’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종교 및 문화적 갈등(21.9%), 난민에 의한 일자리 감소(15.6%), 난민 수용에 따른 세금 지출(10.7%) 순이었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최저임금과 난민문제 등 주요현안과 관련해 마련한 7월 정례조사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지난 13일~14일 이틀에 걸쳐 유무선 RDD(무선 79.5%, 유선 20.5%)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수준, 응답률은 9.3%(유선전화면접 5.3%, 무선전화면접 11.5%)다. 2018년 6월 말 기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 지역, 연령별 가중치를 적용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홈페이지(www.ksoi.org)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국민 2018-07-17 00:43:53
난민을 받아준 결과를 유럽을 보면 알수있죠 들어간 나라에 동화되지 않고 자신들의 문화만 강조하고 각종 테러와 범죄 로 사회를 혼랍스럽게 하고 그피해자는 여성과 아이들부터였죠 금전적 도움은 줄수 있지만 함께 사는것은 한국의 안전과 미래세대를 위해 안되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