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오버투어리즘 도민 맞춤형 대책 제시해야
제주 오버투어리즘 도민 맞춤형 대책 제시해야
  • 김진규 기자
  • 승인 2018.0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의회가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제주도의 선제적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관광국에서 지난해 발표한 제주관광 수용력 추정연구 결과를 보면 2022년 혹은 2023년, 보수적으로 추정할 경우, 2028년 정도에 2000만명 도달하는 것으로 나왔다. 향후 5년~10년 안에 제주관광의 물리적·경제적 수용력은 도달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관광체육위원회 강민숙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16일 속개된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제주도를 상대로 업무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제주도는 오버투어리즘 관리가 수용력이나 입장료 인상 등 관광객 유입 제한에만 국한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주민들의 생활불편, 관광객과의 마찰, 마을문화의 정체성 훼손이다. 이에 대한 관리대책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2공항이 입지될 성산지역, 구좌 월정 인근, 우도 등 오버투어리즘 발생 및 예상지역에 대한 진단, 주민피해 실태조사 및 컨설팅, 주민피해보상이나 지원방안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관리대책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양기철 제주도 관광국장은 “싱가포르의 경우 제주도 땅의 3분의 1 밖에 안되지만 인프라 확충 등으로 오버투어리즘 논란이 없다. 이외에도 많은 지역이 그렇다”고 답했다.

강 의원이 “제주 오버투어리즘의 가장 큰 문제는 과거에 양적성장에만 치중했던 제주의 관광개발 행태였다”며 “제주관광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부작용 해소가 선행돼야 한다. 정확한 진단과 함께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 국장은 “기존의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현재 수용능력 등을 토대로 예측한 것이기에 인프라 확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