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국 의원 임시회서 “유지비 부담 원인”
“도지사·교육감 공약…행정서 의지 보여야”
“도지사·교육감 공약…행정서 의지 보여야”
본지가 취재한 <도내 어린이공원 지역별 ‘쏠림현상’ 심각> 보도와 관련해 행정당국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됐다.
본보가 도내 131개 어린이공원(조성 완료된 곳 기준)의 지역별 소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노형동은 20곳으로 가장 많은 반면, 용담동과 봉개동은 단 한곳도 없다.
김황국 의원(자유한국당·용담동)은 16일 속개된 제362회 임시회에서 제주시를 상대로 업무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안전점검과 유비지에 따른 부담으로 어린이공원이 사라지고 있다. 행정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윤권 제주시 도지건설국장은 “현재 어린이 놀이터 17개 곳에서 철거 신청이 들어왔고 일부가 철거됐다. 제주시 관내 공동주택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가 철거된 이유는 어린이 놀이터 안전관리법이 시행되면서 2년에 한번씩 안전관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후 된 놀이터인 경우 새로 하던가 보수를 하다보면 단지 내 입주자들이 관리비용이 부담이 되서 철거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입주자 2/3 이상이 동의를 얻어 진정이 들어온다”고 말했다.
고 국장은 “공동주택 관리비용지원 사업이 있다. 단지 내 부대시설 어린이 놀이터라던가 방범 CCTV가 있다. 어린이 놀이터가 존치될 수 있도록 철저히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공동주택 단지는 사적 재산이다. 개방형으로 했을 때 행정에서 지원해야 한다. 원도심 놀이터는 도지사와 교육감 공약이기도 하다. 저도 돕겠다. 행정에서 의지를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