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오늘(11일)부터 본격적인 임시회에 돌입하는 가운데 원희룡 제주도정과의 협치가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제주도의회는 이날부터 이달 19일까지 제362회 임시회를 열어 각 상임위별로 제주도와 양 행정시로부터 주요업무를 보고 받는다.
최근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도민의 대의기관을 존중하겠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장악한 제11대 제주도의회와의 협치를 강조했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으로 제주의 정치지형도가 완전히 바뀌면서 민선7기 원 도정으로서는 부담이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제주도의회 인사권 독립 요구에 흔쾌히 수용한 것도 제주도의회의 관계설정과 새로운 ‘협치’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태석 제주도의회 의장도 지난 6일 제361회 임시회 폐회사를 통해 “수많은 갈등현안과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제들을 풀어가기 위해서는 도와 의회뿐만 아니라 도민과의 협치가 필요하다”고 화답했다.
이어 “단지 협치의 이름이 아닌 권한과 책임, 구체적 기준을 마련을 통해 협치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의회가 원 지사가 제안한 행정시장 인사 추천 수용 여부도 주목된다. 원 지사가 ‘협치’를 강조하며 제안한 것이지만, 의회 입장에서는 조심스럽다. 의회가 추천한 인사를 의회가 인사청문회를 하는 모순에 빠질 수 있는데다, 그 인사를 추천한 정치적 책임도 져야하기 때문에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김 의장이 “말보다는 제도와 규정에 따른 절차적 의회 민주주의를 만들어 과정의 공정성과 책임성을 명확히 하자”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원 지사가 시장을 추천을 의회에 부탁할 정도로 협치가 필요하다면 진정성 있는 내용물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4년전 민선 6기 원 도정은 출범초부터 제10대 도의회와 대립하면서 행정시장 인사에서 잡음을 노출하며 잇따라 실패했다. 이 같은 경험을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읽히지만, 의회가 원 지사의 의중을 어떻게 판단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