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속 번영 획득이 궁극적 목표”
“평화 속 번영 획득이 궁극적 목표”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8.0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지도자세션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주제 27일 개최

반기문 “남북관계·한미동맹 투트랙 전략 병행해야” 강조

지금까지 평화를 다뤄온 통상적 방식이나 관념에서 벗어나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이튿날인 27일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을 주제로 세계지도자세션이 개최됐다.

이날 열린 세계지도자세션에는 반기문 전 UN사무총장, 브라이언 멀로니(Brian Mulroney) 전 캐나다 총리, 후쿠다 야스오(Yasuo Fukuda) 전 일본 총리가 참석해 북미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프로세스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에 대해 논의했다.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남북한 관계 개선과 함께 굳건한 한미동맹 투 트랙 전략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 전 총장은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미 상호 간의 긴장 완화와 평화 구축이 가능한 사실을 목도했지만, 지금의 역학적 관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남북한 관계 개선과 굳건한 한미동맹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동북아시아 안보의 급작스러운 움직임을 경계해야 한다. 동북아 안보 안정의 근간이 되는 한미동맹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한반도 평화 안보 문제에 대하 포괄적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남북만의 노력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뿐만 아니라 모든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면서 “세계 시민들이 머리를 맞대어 평화롭고 조화롭게 북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브라이언 멀로니 전 캐나다 총리는 “비핵화를 위해 어떤 식으로 검증할지 아직 분명치 않다”며 “가장 큰 이해당사자인 중국이 협상 과정에 어떤식으로 참여할지 눈여겨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민한 정치적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유럽의 30년 전 변화를 보면서 상호신뢰가 필수라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싱가포르 합의문을 바탕으로 더 많은 대화와 성과가 도출되면, 한국전쟁 이후 진정한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이번 포럼에서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도 “북미정상회담을 성공시켜야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최종적으로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며 “외교라는 수단을 통해 국가 간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차원을 넘어 민간 차원에서도 서로 교류하고 삶에 대한 논의를 해야 한다”며 “이러한 대화를 통해 평화 속에서 번영을 획득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